728x90
반응형
♣제 23차 봄 글로벌 특별새벽부흥회(주후 2025년 4월 21일)
제목: "(너희는 이렇게 기도하라(릭 워렌목사님), 그일라에서 올린 다윗의 기도(손창남선교사님)"
말씀: 마태복음 6:9-13, 삼상 23:1-14
설교자: 릭 워렌 목사님(새들백 교회 설립자), 손창남 선교사(조이선교회 대표)-초빙
=====
▶릭 워렌 목사님(새들백 교회 설립자)
Hello everyone at Sorong Church.
I love you all so much and it is an honor to be invited to speak to you at your dawn prayer meeting. Now the Bible tells us to pray without ceasing. Now what does that mean? It means we pray all the time. We never stop praying. We pray throughout our day. There's no bad time to pray. But when the Bible says pray continuously, how do you do that? How do you pray continuously? Well, there are a couple ways to do it. First, you just keep a running conversation going on with God that never finishes. It's just like breathing. You don't think about it. You just talk to God no matter what you're doing, where you are, and you don't have to say amen. You just have a running conversation throughout the day and you do it naturally. Now, like any good habit, with practice, you'll get better at it. Now, how to break your day into seven segments and then make sure you pause to pray in each of those segments in your day. Now, you schedule your prayers. That's how you can pray throughout your whole day. In Psalm 119164, David says, Seven times a day I praise you. Then you learn to pray seven different kinds of prayer. Now I'm sure you're thinking already, how am I gonna remember all this? Well, if you can recite or say the Lord's Prayer, you already have everything you need to do this because it's based on the Lord's Prayer. Every phrase in the Lord's Prayer is a different kind of praying. And if you know that, then you just figure out your day and seven times in that day, you'll pray a phrase from the Lord's Prayer. Now, there are a couple steps to how to pray throughout your day. First, you divide your day into segments, and then second, you learn seven kinds of praying, which are modeled in the Lord's Prayer. It's easy once you know how to do it. Now, what are we talking about your day? Seven segments in your day. When you wake up, it's number one. When you eat breakfast, second segment. In the middle of your morning, third segment. When you eat lunch, fourth segment. Then somewhere in the middle of your afternoon. Then when you eat dinner, and finally right before you go to sleep, right before you get into bed. Then, using the Lord's Prayer, you pray seven different kinds of prayer. First, I give my thanks to God. That's the prayer of gratitude. Then I give my praise to God. That's the prayer of blessing. Then I give myself to God. That's the prayer of dedication. Then I give my needs to God. That's the prayer of petition. And then I ask God to forgive my sins. that's the prayer of confession. all these are in the lord's prayer. then i ask God for help with temptation. that's the prayer of protection. and finally, I affirm that God is in control. that's the prayer of benediction. okay, let's put the two parts together. the seven parts of your day and the seven kinds of prayer. here you go. a daily schedule built on the Lord's Prayer. first, The very first thing you do when you wake up is this, you get up with gratitude. Get up with gratitude. Not with grumbling, not with griping, not with groaning, not with growling, not with grunting. The first thing you get out of bed, you thank your heavenly Father in heaven for his consistent love. And you think of all the ways that God is good to you. Here's what it says, Matthew 6, Jesus said, Your Father knows what you need before you ask. He's talking about prayer. So then, this is how you should pray. And the first thing he says is you pray, Our Father in heaven. You thank God that he is a good, good God, a good father. He is a caring father. He is a consistent father. He's a close father. He's a capable father. You thank God that God is a good God. Next, you pray the prayer of blessing and you bless God's name at breakfast. Bless God's name at breakfast. Now, the Bible says, Bless the Lord, O my soul, and all that is within me. That's if after you've eaten breakfast, otherwise you pray it before. Psalm 1452, Every day I will bless your name, and I'll praise it forever and ever. To bless means to honor. It means to praise. It means to give respect. It means adoration. And how do I remember to bless God's name at breakfast? It's the second phrase of the Lord's Prayer. Second phrase, after it says our Father, who art in heaven, it says, Hallowed be your name. You know, in the book of Psalms, God's name is praised about 80 times. One of the ways you can hallow God's name is to review all the different names of God and the promises that are implied in that. So to hallow God's name in prayer means I review God's name, they're all through the scriptures, and the promises. here's a few examples. god says, I am Abba, your loving Father. god says, I am Jehovah Rapha, the one who heals you. god says, I am El Shaddai, the Almighty God. i got the power, all the power you need. god says, i'm jehovah jireh, i'm your provider. god says, i'm jehovah shalom, i'm your peace. In Psalm 910, Those who know your name trust in you, for you've never abandoned those who seek you. You start with gratitude, you move to praise, and then you go to work. You start your work, whether it's at home or somewhere else, and about mid-morning, you take a break, and at mid-morning, you remember what matters most. That's gonna be a third kind of prayer. but you remember what matters most. Now, Jesus gives an incredible promise in Matthew 633. He says, If you seek first the kingdom of God and his righteousness, all the other things will be given to you as well. This is the prayer of dedication. In mid-morning, you just stop mid-morning sometime and you recommit yourself to God's purposes and his plans for your life and for the whole world. So how am I gonna remember that? All you have to do is remember the Lord's prayer. Okay, when I get up, our Father who art in heaven, and I think about all the things I can be grateful to God for his goodness. Hallowed be your name. I think I blessed the name of God. And then he says the third thing, may your kingdom come, may your will be done on earth as it is in heaven. That's the prayer of dedication. I align myself with God's purpose and plans for my life. God has promised to help you with all your work if you do this. That's the prayer of dedication. Your will be done in my life. Your kingdom come, your will be done. Now finally, you're going to get to lunchtime. How do I pray at lunchtime? I list my needs at lunch. I list my needs at lunch. This is a kind of prayer that's called petition, which says you ask. The next phrase of the Lord's Prayer is this Give us today our daily bread. Now, you may be eating a sandwich, when you pray this, and it can remind you of this fourth type of prayer, which is the prayer petition. Give us today what we need. Bread represents everything you need, but notice it doesn't say give us this day our monthly bread, our weekly bread, it says our daily bread. It's just anything you need is considered bread to God. Did you know that over 20 times in the New Testament, you are commanded to ask for what you need in prayer? John 14, 13, Jesus said, you can ask for anything in my name. And in James, he says, you have not because you ask not. Now, not only at lunchtime can I pray, I list my needs at lunchtime. Not only can I pray for my needs, I can ask God to help other people for what they need too. That's called intercession. I don't know if you noticed it, but Jesus tells us to pray in the plural. He says, give us Not just give me, give us this day, our daily bread. So when you make your list of prayers and needs, pray for other people's needs too. 1 Peter 13, Jesus is the power of God by which he gives us everything we need to live and to serve God. We have these things because we know him. Now sometimes by noon, you're gonna have days where you're already stressed out. Philippians 4 tells us, Don't get anxious about anything, but in everything, by prayer and petition, with thanksgiving, present your request to God, and the peace of God which transcends all understanding will guard your hearts and minds in Christ Jesus. You know what? If you'll spend some of your lunchtime every day listing your needs at lunch, talking to God about what you need, financial, mental, spiritual, relational, emotional, you know what? You're gonna go back to work more peaceful than you were before lunch. That's the next phrase. Now, we come to the next kind of prayer. Couple hours later, mid-afternoon, By that time in my day, I don't know about you, I've usually dealt with some frustrating things, frustrating people, disappointing circumstances, maybe a little bit of hurt. And I probably by mid-afternoon piled up stack of attitudes that weren't correct, sinful attitudes, actions. So in the afternoon, mid-afternoon, that's a good time to go to the next phrase in the Lord's Prayer, which is the prayer of confession. What do I do? I ask for forgiveness in the afternoon. I ask for forgiveness in the afternoon. How do I remember that? It's the next phrase in the Lord's Prayer. Forgive us our sins. as we forgive those who sin against us. Now, it doesn't take a long time to do this, to confess your sins, but neither does taking out the garbage. And it sure makes a difference when you take it out. If you don't take out the garbage, your house is going to start stinking. If you don't confess the sins in your life, you're going to be weighed down with garbage in your life. It makes a difference. So what do I do? I own up to my bad reactions during that morning or that early afternoon. I own up to my own sins. And by the way, I forgive others who have frustrated me. Okay? That's what you do in the afternoon. Now, after work, you're going to head home. Did you know, I've read some studies that 90 of all the arguments in the world happen at home about an hour before dinner, 90%. Why? Maybe sugar's low or something, but knowing that, okay, you're going home tired and other people in your family are tired. We come to the sixth kind of prayer. It's called the prayer of protection. That's the next phrase in the Lord's Prayer. You pray the prayer of protection by saying, Lord, Help me make wise decisions. Help me not to get trapped by wrong attitudes. Protect me from making dumb choices. Prevent me from falling into temptation. Help me not to be triggered by the temptations in my life. This is the sixth phrase, and it's gonna be the sixth prayer you prayed in that day. Lead us not into temptation. but deliver us from the evil one. That's the prayer of protection. Now, finally, at the end of my day, this is the seventh segment of your day. I'm getting ready to go to bed. I pray the prayer of benediction. That's the last phrase in the Lord's prayer. A benediction is Benediction actually means the good word, good word. It is a positive word that ends your day. Now, there's nothing more positive than God's word, and there's nothing more encouraging than the final phrase in the Lord's Prayer. This is a good one to end your day on. For yours is the kingdom and the power and the glory forever. Amen. I end my day with encouraging words from God's word. As I get into bed, I say, yours is the kingdom and the power and the glory forever. What does that mean? God is in control. This is not the end of the story. God will help us win in the end. That's gonna help you sleep better. Now I encourage you to try this format of using the seven phrases in the Lord's Prayer at seven different times in your day. Now I want us to end by practicing this method. First, I give my thanks to God. Our Father who art in heaven, thank God for who he is. Thank God for him being a good God. That's the prayer of gratitude. Now, second prayer, the prayer of blessing. Bless the Lord, O my soul. How do you bless God? By giving praise to his name. That's a prayer of blessing.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thanksgiving and praise? Thanksgiving is for what God has done. Praise is for who God is. Then we go to the third prayer, the prayer of dedication. Thy kingdom come, thy will be done. Next, is the fourth prayer, the prayer of petition. Give us this day our daily bread. Bread is anything you need. Now we go to the next prayer, which is the prayer of confession. Forgive us our sins as we forgive those who sin against us. I ask God to forgive my sins. Now we go to the prayer of protection. Satan is out to defeat you, and he tries to defeat you with temptations and with trials. So ask God for help. Say, lead us not into temptation, but deliver us from evil. You can pray that. Finally, pray a prayer of benediction, a good word. For thine is the kingdom and the power and the glory forever. Father, I pray right now for everyone on this broadcast all around the world. i ask you to bless them. i ask you to protect them. i ask you to use them. i ask you to anoint them in the name of the Father and the Son and the holy spirit. amen. god bless you. =====
안녕하세요, 사랑교회 여러분.
여러분 모두를 진심으로 사랑하며, 이른 새벽 기도회에 초대해주셔서 정말 영광입니다.
성경은 쉬지 말고 기도하라고 말씀합니다.
그게 무슨 뜻일까요?
그것은 우리가 항상 기도하라는 뜻입니다.
기도를 멈추지 않는다는 뜻이죠.
하루 종일 기도하는 것입니다.
기도하기에 나쁜 시간은 없습니다.
그런데 성경이 "끊임없이 기도하라"고 할 때, 그걸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까요?
어떻게 하면 끊임없이 기도할 수 있을까요?
몇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하나님과 끊임없이 대화를 이어가는 것입니다.
끝나지 않는 대화를 계속하는 거죠.
호흡처럼 자연스럽게, 생각하지 않아도 됩니다.
무엇을 하든, 어디에 있든, ‘아멘’을 꼭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그저 하루 종일 자연스럽게 하나님과 대화를 이어가면 됩니다.
좋은 습관처럼, 연습하면 점점 더 잘하게 됩니다.
그리고 하루를 일곱 개 구간으로 나누고, 그 구간마다 잠시 멈춰서 기도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하루 종일 기도할 수 있습니다.
시편 119편 164절에서 다윗은 이렇게 말합니다.
"내가 하루에 일곱 번 주를 찬양하나이다."
그리고 나서 우리는 일곱 가지 종류의 기도를 배우게 됩니다.
“이걸 어떻게 다 기억하지?”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겠죠.
하지만 주기도문을 외우거나 말할 수 있다면, 이미 필요한 건 다 갖고 계신 겁니다.
왜냐하면 이 모든 기도는 주기도문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니까요.
주기도문의 각 구절은 서로 다른 종류의 기도를 나타냅니다.
그걸 알고 나면, 하루 일과 속에서 일곱 번에 나누어 주기도문의 각 문장을 가지고 기도하면 되는 것입니다.
하루 종일 기도하는 방법은 두 단계입니다.
1. 하루를 여러 구간으로 나눕니다.
2. 기도문에 담긴 일곱 가지 기도 방식을 배웁니다.
알고 나면 어렵지 않습니다.
자, 그럼 하루를 어떻게 나눌까요?
1. 잠에서 깼을 때
2. 아침 식사할 때
3. 오전 중간쯤
4. 점심 식사할 때
5. 오후 중간쯤
6. 저녁 식사할 때
7. 잠자리에 들기 전
그리고 주기도문을 바탕으로 일곱 가지 기도를 드립니다:
1. 감사의 기도 – 하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2. 찬양의 기도 – 하나님께 찬양을 드립니다.
3. 헌신의 기도 – 나 자신을 하나님께 드립니다.
4. 간구의 기도 – 나의 필요를 하나님께 아룁니다.
5. 고백의 기도 – 나의 죄를 고백합니다.
6. 보호의 기도 – 유혹으로부터 도와주시길 구합니다.
7. 축복의 기도 – 하나님이 주권자이심을 고백합니다.
이제 이 두 가지 – 하루의 일곱 구간과 일곱 종류의 기도를 – 함께 적용해 봅시다.
주기도문에 기초한 일과별 기도 스케줄입니다.
첫 번째,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해야 할 일:
불평하거나 투덜대지 말고 감사함으로 일어나는 것입니다.
하나님 아버지께서 변함없이 사랑해주심을 기억하며 감사를 드리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당신에게 얼마나 많은 은혜를 베풀어주셨는지를 생각해 보세요.
마태복음 6장에서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너희 아버지는 너희가 구하기 전에 너희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아신다.”
그리고 기도에 대해 가르치시며 말씀하십니다: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여기에서 우리는 하나님이 선하신 분이심을 고백합니다.
하나님은 돌보시는 아버지, 신실하신 아버지, 가까이 계신 아버지, 능력 있는 아버지이십니다.
하나님이 좋은 아버지이심을 기억하며 감사를 드리는 것입니다.
두 번째, 아침 식사 시간에는 찬양의 기도를 드리세요.
하나님의 이름을 송축하세요.
성경은 이렇게 말합니다:
“내 영혼아 여호와를 송축하라. 내 속에 있는 것들아 다 그의 거룩한 이름을 송축하라.”
(시편 103편)
아침을 먹은 후이든 그 전이든, 하나님의 이름을 송축하는 기도를 드릴 수 있습니다.
시편 145편 2절에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내가 날마다 주를 송축하며 영원토록 주의 이름을 찬양하리이다.”
‘송축한다’는 것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찬양하며, 존경과 사랑을 드리는 것입니다.
어떻게 하면 아침마다 하나님의 이름을 송축하는 걸 기억할 수 있을까요?
그것은 주기도문의 두 번째 문장에 있습니다: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
시편에는 하나님의 이름이 약 80번이나 찬양됩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이름을 거룩하게 여긴다는 것은
하나님의 이름들과 그 이름에 담긴 약속들을 기억하고 되새긴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하나님은 “아빠(Abba), 너를 사랑하는 아버지”라고 하십니다.
하나님은 “여호와 라파(Jehovah Rapha), 너를 치유하시는 분”이라고 하십니다.
하나님은 “엘 샤다이(El Shaddai), 전능하신 하나님”이라고 하십니다.
하나님은 “여호와 이레(Jehovah Jireh), 너의 공급자”라고 하십니다.
....... ![]() ![]() ![]() ===========
▶손창남 선교사(조이선교회 대표)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손창남입니다. 오늘 사랑의 교회 특별 새벽 기도에 이렇게 하나님의 말씀을 함께 나누게 된 것을 큰 기쁨으로 생각합니다. 저는 불신자 가정에서 자랐습니다. 고등학교 3학년 여름방학에 제 친구가 저를 꼬드겨 가지고 좋은 모임이 있다고 그래서 저를 조이로 데려갔습니다. 저는 조이가 진짜 좋은 모임인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그곳에 가서 처음으로 복음을 듣게 됐습니다. 그리고 주님을 영접했습니다. 제가 주님을 영접하면서 제가 그동안에 갖고 있었던 모든 제 생각과 가치관이 다 바뀌어 버렸습니다.
그래서 저는 주님을 위해서 살기로 결심했습니다. 아마 하나님이 저를 그때 너는 목사가 되라 이렇게 얘기하셨어도 아마 목사가 됐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하나님께서 저에게 선교사가 되라고 말씀하셨어요. 저희 선교회는 1958년에 시작된 학생단체입니다. 이름은 선교회지만 처음에는 영어를 배우기 원하는 대학생들 몇 명이 시작한 단체입니다. 하지만 점점 성장했고 제가 처음에 모임에 갔던 1973년도 그때쯤에는 오시는 강사님들마다 선교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해주셨어요. 그래서 저도 자연스럽게 나도 이담에 선교사가 돼야 되겠다. 이런 꿈을 갖고 있었습니다. 물론 우리 부모님은 절대로 모르셨어요.
왜냐하면, 제가 예수 믿는 것만 해도 굉장히 억울해 하시는 분들한테 제가 선교사가 되겠다. 그러면 아마 쥐약 드시지 않을까? 이런 염려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절대로 사람들한테 그런 얘기를 하지 않았지만 제 마음속에 전 언젠가 선교사로 갈 거다 이런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저는 대학에서 경영학을 공부했고요. 이제 대학원에 가서 회계학을 공부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때 제가 출석하던 교회 담임 목사님이 인도네시아를 다녀오셔서 인도네시아에 대한 얘기를 해주셨는데 너무나 저한테 쇼킹한 얘기였습니다. 두 가지가 쇼킹했었는데 하나는 인도네시아의 모든 주민들은 자기 주민등록증에 자기 종교를 적어 가지고 다닌다는 거예요. 처음 알았습니다.
저는 그런 나라가 있다는 걸 두 번째는 전체 주민의 90%가 이슬람 교도라는 거예요. 그러니까 그 얘기는 뭐냐 하면 만약에 이슬람 교도 집안에서 태어난 어떤 애기가 출생신고할 때 그 아이의 종교도 적어야 되는데 아마 분명히 자기 아버지가 이슬람을 믿는다면 이슬람 교도라고 적을 거라는 거죠. 그러면서 목사님이 저한테 아주 우리 성도들에게 도전하셨어요. 누군가는 인도네시아에 가서 예수 크리스토가 누군지 얘기해야 되지 않겠냐 이렇게 말씀하셨는데 저는 그 순간에 하나님이 저한테 장남아 네가 인도네시아에 가지 않겠냐 이렇게 말씀하시는 것 같았어요. 그래서 하나님께 그렇게 인도네시아 선교사가 되겠다고 말씀을 드렸습니다. 제가 대학원을 마칠때 전국적으로 회계학과가 많이 생겼어요.
그래서 회계학을 가르칠 사람들이 필요했습니다. 뭐 당시는 취업이 잘 되는 때였지만 저는 어차피 선교사가 될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일반 회사에 다니는 것보다는 시간강사 이렇게 좀 여유가 있는 직업을 가졌으면 좋겠다. 이런 생각을 해서 마침 어떤 대학에서 저한테 강사를 할 수 있겠냐고 그래서 저는 아주 그곳에 가서 강의를 했습니다. 그러다가 1년 후에 그 국립 세무대학이 생겼는데 그때 회계학을 가르치는 교수가 필요하다고 해서 그곳에 가서 회계학 교수를 하게 됐습니다.
이제 선교사가 되겠다는 어떤 자매를 만나고 그 자매하고 결혼해서 아이도 생기고 또 대학에서 승진도 하고 아파트도 하나 마련하고 이렇게 제 삶이 점점 안정되어 가니까 제 마음속에 두 마음이 생기는 거예요. 하나는 하나님이 나에게 부르신 그 부르심대로 내가 인도네시아의 선교사로 가야 되겠다는 생각도 있지만 또 한편으로는 아 내가 이렇게 안정된 삶을 과연 포기할 수 있을까? 이런 두려움이 있었어요. 그래서 제가 교수 생활을 한 지 8년쯤 됐을 때 늘 그 갈등 때문에 힘들어서 제가 하나님께 기도했습니다.
올해 안에 제가 인도네시아 선교사로 가는 게 정말 하나님의 뜻인지를 알 수 있는 사인을 하나 주십시오. 그러면 저는 뒤도 돌아보지 않고 가겠습니다. 그러나 만약에 그런 사인이 없다면 저는 그냥 한국에서 살겠습니다. 라고 기도했어요. 근데 여러분 그런 기도하는 거 굉장히 위험한 건지 아시죠. 하나님이 기도를 응답하시잖아요. 근데 11월 말까지 아무 일이 없었어요. 아무 사인이 없었어요. 그래서 저는 은근히 좋아했습니다. 이제 나는 인도네시아 선교사가 되는 모든 부담을 떨어버릴 수 있겠구나라는 생각을 했어요. 근데 12월 첫째 주에 저희 집에 어떤 손님이 오셨는데 제가 그 손님께 이런 기도를 하고 있습니다라고 말씀드렸어요.
그랬더니, 그분이 저한테 아 내가 인도네시아 선교사님 한 사람 아는 사람이 있는데, 그분한테 편지를 해보라고 그러면서 그분의 주소를 주셨어요. 한정국 선교사님 그래서 제가 한정국 선교사님이 자카르타에 계실 때 제가 편지를 드렸습니다. 그 전까지 저는 한 선교사님을 몰랐어요. 한송국 교사님도 당연히 저를 부르시죠. 그래서 제가 편지에 저는 대학원 다닐 때 인도네시아 선교사가 되겠다고 그렇게 기도했고 지금은 대학에서 회계학을 가르치고 있는데, 저 같은 사람이 인도네시아에 필요할까요? 이렇게 말씀을 드렸어요. 그랬더니, 한선교사님이 그때 답장을 하셨어요. 그때는 이메일이라는 게 없어서 그냥 일주일 편지가 가고 다시 또 인도네시아에서 오는 편지가 일주일 후에 저한테 도착했습니다.
그런데 한종국 선교사님이 그 안에 뭐라고 쓰셨냐면 인도네시아 정부는 선교사 비자를 주지 않습니다. 그런데 여기 있는 모든 선교사들은 전부 교수 비자를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나는 원래 신학을 공부한 목사인데 여기 와서 비자를 받기가 어려워서 학부 때 공부했던 경제학을 가르치고 있대요 그러면서 나는 가짜지만 당신은 진짜니까 여기 딱이라고 저는 그 편지를 받는 순간 얼마나 감사했는지 몰라요. 제가 교수가 된 게 저를 하나님이 인도네시아에 보내기 위해서 준비하신 거구나 라고 하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그래서 한종국 정교사님이 omf라고 하는 단체에 소속돼 있었기 때문에 저도 그냥 다른 단체를 고려할 필요도 없이 omf라고 하는 단체로 가게 됐습니다. omf라고 하는 단체는 om이라는 단체하고 굉장히 헷갈리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제가 om 선교사인 줄 아는데 om과 omf는 완전히 다른 단체입니다. omf는 1865년에 시작된 단체입니다. 허드슨 테일러라고 하는 그 선교사님이 중국 내지선교회라고 하는 거를 1865년에 만들었어요. 그리고 중국에서만 저희는 사육했습니다. 그러다가 1950년에 여러분이 아는 것처럼 중국이 공산정권이 들어서면서 모든 선교사들은 다 나올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래서 저희도 나와 가지고 그다음에 동아시아에 흩어진 화교들을 중심으로 사육했다가 1965년부터는 완전히 로컬 사람들을 위해서 사역하는 그런 단체로 바뀌었습니다. 그래서 이름도 옛날에 중국 내지선교회 때는 cim이라고 이렇게 불렀는데 저희가 지금은 omf라고 이렇게 부르게 됩니다. 제가 갔던 인도네시아도 1952년부터 선교사님들이 사역을 하기 시작했어요. 그래서 제가 갔을 때 한 8~90명 정도의 선교사님들이 인도네시아 전체에 흩어져서 사역을 하고 있었습니다. 제가 간 곳은 족자카르타라고 하는 도시입니다. 그 족자카르타라고 하는 도시는 중부 자화에 있습니다. 여러분들이 자화섬 을 아마 인도네시아 지도를 보시면 알게 될 겁니다.
중부 자바의 족자크라타라고 하는 도시는 굉장히 특별한 도시입니다. 그 도시가 왜 특별하냐면 그 도시의 인구가 한 250만쯤 되는데 거기에 대학이 100개가 있습니다. 그러니까 정말 대학이 많은 도시입니다. 거기는 뭐 다른 공장이나 사업 이런 게 없습니다. 그냥 대학만 있는 도시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 도시에서 저는 두따와짜나라고 하는 대학에 가서 강의를 했습니다. 물론 제가 선택한 건 아니고 우리 omf와 듣다 왔잖아. 대학이 좋은 관계가 있었어요. 그래서 저를 그곳에 보냈습니다. 제가 가서 총장님께 인사를 드렸더니, 총장님이 정말 반가워하셨어요. 한국 사람은 아마 처음 보셨는지도 몰라요.
그러면서 저한테 우리 손 교수님이 영어로 강의를 해도 되겠지만, 우리 애들이 영어를 잘 못한다고 그래서 인도네시아 말로 강의를 해달라고 저는 인도네시아 말을 한마디도 해본 적이 없습니다. 그래서 1년 동안 인도네시아어를 배웠어요. 그리고 그 인도네시아 말로 회계학을 강의했습니다. 죽는 줄 알았습니다. 근데 뭐 강의는 이제 준비를 하고 그렇게 했는데 제가 그곳에 간 것은 강의를 하기 위해서 간 게 아니라 대학생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싶어서 갔습니다. 근데 하나님께서 아주 놀라운 기회를 주셨어요. 학생 2명이 저희 집을 방문했을 때 그 학생들이 저한테 영어를 좀 영어로 말하고 싶다고 하는 거예요. 그래서 제가 그 학생들과 영어로 대화를 했습니다. 그리고 끝나고 돌아가는데 학생들이 제가 너무 궁금했어요.
혹시 이 학생들처럼 영어를 배우고 싶어 하는 학생들이 또 있을까? 그랬더니, 자기 친구들 중에 그런 학생들이 많이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 학생들을 우리 집에 금요일 저녁마다 데려와라 그러면 내가 영어로 노래도 가르쳐주고 게임도 하고 그리고 영어로 바이블 스터디를 하면 어떻겠냐 그랬더니, 굉장히 좋다고 그러더라고요. 그래서 집에서 모임을 하기 시작했는데 정말 놀랍게 몇 명 모이지 않던 그 모임이 계속 사람들이 늘어났어요. 그리고 계속 주님을 영접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제가 2001년에 한국 omf 대표를 맡게 돼서 한국으로 돌아왔는데 그때까지 한 200명 정도의 학생들이 계속 모이고 주님을 찬양하는 그런 모임이 됐습니다.
그래서 그 모임을 인도네시아 조이라고 그렇게 불렀고 한국 조이와 서로 교류하는 그런 아주 좋은 단체가 됐습니다. 제가 2001년에 한국에 들어와서 그 omf 대표로 일하다가 이제 임기를 마치고 저는 동원사역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2021년에 한국 조이가 저를 대표로 와달라고 해서 지금은 한국 조이의 대표로 섬기고 있습니다. 굉장히 많은 분들이 omf와 조이가 어떤 관계에 있냐 이렇게 말하는데 아무 관계가 없습니다. omf는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선교사들을 발굴하고 훈련해서 해외로 파송하는 단체고요. 그리고 조이는 캠퍼스에서 대학생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ccc나 ibf 같은 그런 단체입니다.
그런데 저는 어쩌다가 양쪽을 이렇게 관계하게 되면서 섬기게 된 것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혹시라도 여러분들이 그 두 단체가 어떤 관계가 있나 이렇게 생각하실 텐데 그러나 좋은 관계는 맞습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읽었던 사무엘상 23장에 보면 다윗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다윗은 어릴 때 이스라엘의 왕이 될 것이라고 사무엘 선지사에 의해서 기름부음을 받은 사람입니다. 그러나 사울왕에 의해서 쫓겨 다니는 신세가 됐어요.
그런데 이 다윗의 원래 직업은 어릴 때는 목동이었지만 그는 군인이었습니다. 군인 중에서도 장수였습니다. 그는 블레스 사람들을 많이 무찔렀습니다. 그가 얼마나 블래스 사람들을 많이 무찔렀느냐 하면 사무엘상 18장에 보면 사울이 죽인 사람은 천천인데 다윗이 죽인 사람은 만만이다. 이렇게 말할 정도로 아주 위대한 장수였습니다.
사무엘상 18장에 보면 다윗이 전쟁을 치를 때 그가 어떻게 전쟁을 치렀나를 얘기하는 구절들이 나오는데요. 18장 5절에 보면 다윗은 사울이 보내는 곳마다 가서 지혜롭게 행했다.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또 14절에도 보면 다윗이 그의 모든 일을 지혜롭게 행하니 15절에도 보면 사울은 다윗이 크게 지혜롭게 행함을 보고 또 30절에도 보면 블레서 사람들의 방백들이 싸우러 나오면 그들이 나올 때마다 다윗이 서울의 모든 신화보다 더 지혜롭게 행했다.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여기는 지혜롭게 행했다고 나오지만 만약에 우리가 그가 군인이었다고 하는 것을 고려한다면, 그는 매우 전략적인 사람이었다고 생각할 수 있겠죠. 어떻게 하는것이 직면하는 것이 더 유리한지 아니면 우회해서 공격하는 것이 더 유리한지 아니면 매복을 하는 것이 더 유리한지를 아마 분명히 판단할 수 있는 사람이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오늘 23장에 보면 다윗이 블레셋이 그일라 사람들을 괴롭힌다고 하는 사실을 들었을 때 그가 그릴라에 쳐들어갈 때 그는 지혜롭게 한 것이 아닙니다. 그는 하나님께 기도했습니다. 다윗은 전략가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23장 1절부터 14절을 보면 계속 하나님께 구했다. 구했다. 이렇게 얘기합니다. 여러분 하나님의 사람은 하나님께 구하는 사람입니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지식과 경험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원하시는 것이 무엇인지를 계속 구하는 사람 저는 그런 사람들에 대해서 여러 사람을 알고 있지만 오늘 그 중에 한 사람을 여러분에게 꼭 소개하고 싶습니다. 그 분이 바로 허드슨 테일러입니다. 그 분은 아주 이른 나이에 20살이 되기 전에 중국의 선교사로 가기로 결정했습니다.
그가 중국에 가려고 했던 때에는 중국과 영국의 거리가 굉장히 멀었어요. 지금은 영국 사람들이 중국에 가려면 24시간 안에 갈 수 있습니다. 비행기를 타고 갈 수 있습니다. 그런데 1950년에는 그렇게 할 수 없었어요. 허드슨 테일러가 처음 중국에 간 그 해에 영국의 항구를 떠나서 상하이에 도착하는 데 얼마나 걸렸냐면 6개월이 걸렸습니다. 그러니까 허드슨 테일러는 생각해봤어요. 만약에 내가 중국에 갔을 때 후원이 끊어진다면 나는 누구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을까? 그가 내린 결론은 나는 하나님께만 구해야 된다라고 하는 것이었어요.
그런데 만약에 내가 중국에서 하나님께 구할 때 하나님이 응답해 주신다면 그러면 하느님이 내가 영국에서 구할 때도 응답해 주셔야 될 게 아닌가 라는 생각을 했어요. 그래서 그는 영국에서 중국을 출발하기 전에 영국에 있는 동안 하나님께 구하면 하나님이 주시는가를 테스트하길 원했어요. 그는 중국에 가는 준비를 위해서 런던에 있는 그 어떤 의사 클리닉에서 조수로 일하기 시작했습니다. 근데 그가 조수로 일하면서 한 가지 하나님께 약속을 했어요. 하나님 만약에 저 의사가 제게 월급을 줄 날을 넘겼을 때 하나님 저는 그 의사에게 오늘이 월급날이에요.
라고 얘기하지 않겠습니다. 하나님께만 구하겠습니다. 그러면 하나님 하나님이 적 의사에게 얘기해서 하나님 월급을 줄 수 있게 해주세요. 이렇게 기도했어요. 근데 그 테스트가 얼마나 진짜인지를 참 하나님이 만들어 놓으셨는데 그 의사가 건망증이 아주 심한 의사였어요. 드디어 월급날이 됐습니다. 그런데 의사는 허드슨 테일러에게 줄 월급날이라고 하는 걸 까맣게 잊어버립니다.
그 병원은 어떤 규칙이 있었냐면 6시가 돼서 이제 클리닉을 문을 닫을 때 반드시 클리닉 안에 돈을 남기지 않습니다. 그래서 그 모든 돈을 그 앞에 있는 은행에 저금하는 것이 그 회사의 그 클리닉의 어떤 규칙이었어요. 그래서 6시 직전에 의사가 허스턴 테일러를 불렀습니다. 그리고 그 병원에서 받은 돈을 모두 다 허슨테일러에게 주면서 자네 건너 은행에 가서 이 돈을 다 예금하고 오라고 그랬어요. 아마 허슨테일러는 오늘 월급날인데요. 라고 하는 말을 여기까지 하고 싶었을 거예요. 나 그는 꾹 참았습니다. 왜냐면, 하나님이 자기에게 필요한 것을 주시는가를 보고 싶었어요. 그래서 그 돈을 다 가지고 은행에다 집어넣고 돌아왔습니다. 근데 의사가 문을 잠그는 거예요. 이제 클리닉을 잠그고 퇴근할 준비를 했습니다. 허드슨 테일러의 주머니에는 돈이 없었어요.
이제 그는 아마 굶어야 될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그 건망증이 심한 의사가 언제 돈을 주기를 기억할지 아무것도 모르는 거예요. 그래도 허스테일러는 가만히 있었습니다. 문을 잠그고 계단을 내려오려고 하는데 갑자기 마차가 나왔어요. 그러면서 며칠 전에 진료를 받았던 환자가 급하게 내려오면서 아 내가 며칠 전에 진료받은 그 돈을 지금 가져왔다고 그러면서 의사에서 줬어요. 그니까 의사가 난감해 하는 거예요. 아니 나는 그 돈을 갖고 있고 싶지 않고 은행 문을 벌써 닫았는데 이걸 어떡하면 좋을까? 그리고 허슨 테일러의 얼굴을 쳐다봤습니다. 그 순간 생각났어요. 아 오늘 자네 월급날이지 하나님은요, 우리가 하나님께 구할 때 들어주세요. 허슨 테일러는 그때부터 확신을 갖기 시작했습니다.
내가 사람에게 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 구하면 하나님이 반드시 들어주신다 그래서 그는 한 번도 사람이나 교회에게 후원을 요청한 적이 없습니다. 그것을 우리는 페이스 미션 믿음 선교라고 얘기합니다. 그 전에 다른 단체들은 전부 사람이나 교회에 요청했습니다. 나는 이런 돈이 필요합니다. 나를 후원해 주십시오. 라고 얘기했지만, 허드슨 테일러는 한 번도 그래 본 적이 없어요. 그래서 허드슨 테일러를 평생 후원한 사람이 있었는데, 그 사람이 바로 조지 밀러예요. 조지 밀러는 영국에서 고아원을 운영하는 선교사였는데 독일 선교사입니다. 그런데 그는 허슨 테일러의 그런 믿음을 보고 그를 1년 동안 후원했습니다.
저는 다윗이 기도할 때 그가 왜 기도했는지를 한번 다시 생각해 봤으면 좋겠어요. 그는 자기의 필요를 위해서 기도한 것이 아닙니다. 그는 하나님이 원하는 것을 하기 위해서 기도했어요. 아까도 말했지만, 다윗은 어떤 사람입니까? 그는 장차 이스라엘의 왕이 될 사람이에요. 그러면 그 당시 왕의 책무는 뭡니까? 왕의 책무는 왜적으로부터 자기 백성들을 구원하는 일입니다. 그런데 이제 그일라라고 하는 그 성에 주민들이 괴로움을 당하고 있어요. 뭐 땜에 괴로움을 당합니까? 블라셋 군대가 와 가지고 추수하는 것을 걷어가는 이런 아주 악랄한 일을 하기 때문에 괴로움을 당해요.
그래서 다윗은 그것을 보고 아 내가 도망다니는 신세지만 내가 해야 될 가장 중요한 일 하나님이 나에게 지금도 그리고 앞으로 장차도 해야 될 그 일은 바로 이 일이구나 라고 하면서 자기 부하들을 데리고 가서 그 사람들을 구원해내게 됩니다. 다윗에게 있어서 절대로 잊어버릴 수 없는 일은 뭐냐면 자기네들을 공격하는 블레셋을 무찌르고 이스라엘 백성들을 구원하는 일입니다. 이 일은 절대로 양보도 없었고 포기도 없었어요. 여러분 오늘 리콜한 목사님이 아침에 우리에게 아주 좋은 메시지를 전해 주셨는데 그것은 뭡니까? 우리가 하나님이 예수님이 우리에게 하라고 하는 그 기도를 우리가 매일 해야 된다 라고 말씀하셨어요. 근데 그 기도 중에 굉장히 중요한 기도가 있습니다.
그것이 뭐냐면 하나님의 뜻이 하늘로서 이루어진 것처럼 땅에서도 이루어지기를 원합니다 라고 하는 거예요. 하나님의 뜻은 뭡니까? 하나님의 뜻은 이 세상에 있는 모든 민족이 하나님을 알고 그분을 예배하는 것입니다. 저는 오늘 사랑의 교회에 와서 이렇게 많은 분들이 주님을 찬양하고 예배하는 것을 보면서 얼마나 감동을 느끼는지 몰라요. 그런데 이 세상에는 우리처럼 그렇게 모여서 하나님을 찬양하지 못하는 나라들이 너무나 많이 있습니다. 예수님이 누군지도 모르고 예수님이 그들을 위해서 한 일에 대해서 모르는 사람들이 너무나 많습니다. 예수님은 분명히 우리들에게 얘기하셨어요. 너희는 모든 민족에게 가서 내 제자가 되게 하라 라고 말씀하셨어요.
이제 마지막 날이 되면 요한계시록 7장에 의하면 모든 민족들 모든 나라에서 모든 백성에서 사람들이 그 예수 그리스도의 어린 양의 보좌에 나와서 주님을 찬양하는 그림이 있습니다. 여러분 그 그림을 위해서 여전히 우리는 헌신해야 됩니다. 그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헌신했던 여러 사람들이 있는데, 그중에 오늘 한 사람에 대해서 얘기하길 원합니다. 1965년에 중국 네이지스 선교회가 만들어졌는데 그 다음에 1966년에 어떤 사람이 나는 중국 내지 선교회를 통해서 중국의 선교사로 가서 사역하고 싶습니다. 하고 지원서를 냈어요. 그 사람의 이름이 조지 스토트라고 하는 사람입니다. 스코틀란드 사람입니다.
중국 내지선교회 이사들이 그분의 지원서를 쭉 본 다음에 기각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래서 지원서의 모든 서류는 조지 스토트에게 반려됐습니다. 그런데 그 다음 달 조지 스토트는 또다시 지원서를 냈어요. 그래서 이사님들이 핫슨 테일러에게 얘기했습니다. 테일러 씨 조지 스토트라고 하는 사람이 자기가 왜 기각됐는지 잘 모르는 것 같으니까 한번 만나서 얘기를 해주십시오. 라고 얘기했어요. 그래서 허슨 테일러가 이 조지 스토트라고 하는 사람을 만났습니다. 조지 스토트를 만나서 하슨텔러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왜 우리가 당신을 선교사로 받아들이지 못하는지 당신도 알고 계시죠. 라고 말했어요.
그러자 조지 스토트가 네 알고 있습니다. 이렇게 말했습니다. 왜냐하면, 조지 스토트는 다리가 하나가 없었어요. 그 사람이 젊을 때 마차를 타고 가다가 마차가 전복되는 바람에 다리가 눌려서 그 다리를 절단해야만 했습니다. 그래서 다리가 하나밖에 없는 사람이었어요. 그래서 허슨테일러가 설명했습니다. 우리는 다른 선교단체처럼 해안에서 사용을 하는 게 아닙니다. 해안은 어떤 곳입니까? 언제나 외국으로 갈 수 있는 배가 정박해 있는 곳이에요. 그러니까 선교사들이 여차하면 도망갈 수 있는 곳입니다. 우리는 배가 정박해 있는 해안에서 선교를 하는 게 아니라 내지로 들어가서 사역할 것입니다. 맞습니다.
그 상해로부터 몇 달을 걸어가야만 닿을 수 있는 운남성 사천성 청해성 내몽고 그다음에 신장 이런 데서 선교사들이 사역을 했어요. 허센테일러는 말했습니다. 그곳에는 경찰도 없고 군인도 없고 우리를 보호해 줄 아무런 기구가 없습니다. 만약에 거기서 소요 사태가 일어난다면 다른 선교사들은 뛰어서 도망갈 수 있지만 당신은 누군가 업고 가지 않으면 절대로 거기서 도망 나올 수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당신을 허위할 수 없는 겁니다. 그랬더니, 조지 스토트가 말했습니다. 그러면 저는 도망가지 않겠습니다. 허스턴 테일러가 깜짝 놀랐어요. 그래서 물어봤습니다. 아니 두 다리를 가진 건강한 사람도 중국에 가지 않으려고 하는데 왜 당신이 꼭 가야 된다고 생각합니까?
그랬더니, 조지 스토트가 뭐라고 그랬냐면 두 다리를 가진 건강한 사람들이 안 가려고 하니까 제가 가야죠 저를 보내주십시오. 라고 얘기했어요. 그래서 허스턴 테일러는 감동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이사님들을 오히려 설득했어요. 이 사람을 꼭 중국에 보내야 됩니다. 그래서 중국 내지성 교회는 그 사람을 중국의 절강성 원조라고 하는 도시에 보냈습니다. 그 완주어에는 예수 믿는 사람이 한 명도 없었어요. 그리고 원조의 문제는 그 원조 사람들은 아주 특별한 방언을 썼는데 그 방언은 다른 중국 사람들도 이해할 수 없는 방언이었어요. 아마 제주도 방언 여러분 이해 못 하죠. 예를 들면 폭삭 속았수다 근데 여러분 폭삭 속았수다가 무슨 말인지는 아시죠.
폭삭 쏘고 쓰다가 고생 많이 했습니다요 삭았다는 뜻이 아닙니다. 여러분 오해하지 마십시오. 그 제주도 가면 혼저 옵서요 이런 말 있죠. 혼자 오란 말이 아니에요. 어서 오라는 뜻입니다. 그러니까 그렇게 우리가 제주도 방언을 이해 못 하는 것처럼 일반 중국어를 하는 사람들이 원조어의 방언을 이해할 수 없었어요. 그런데 이 조지 스토트는 완벽하게 완조 방언을 이해했습니다. 배웠습니다. 그리고 저잣거리에 나가서 매일마다 예수 그리스도가 누군지를 외쳤어요. 그 당시에 중국 사람들은 서양 사람들을 본 적이 없기 때문에 서양 사람들의 외모를 보고 귀신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양귀라고 불렀어요. 서양 귀신 그리고 돌 던지고 욕하고 그런 사람들이 원조에도 많이 있었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절대 포기하지 않고 매일 나가서 복음을 전했습니다. 그런데 그 동네에 조지 스토트처럼 다리가 하나밖에 없는 청년이 있었어요. 이 청년은 다리가 하나밖에 없는 서양 귀신이 와 가지고 떠드는 것을 덜었어요. 그리고 그가 외치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이제 이 다리가 하나밖에 없는 그 중국 청년도 조지 스토트와 함께 저잣거리에 나와서 계속 예수님에 대해서 외쳤어요. 사람들은 한 명씩 두 명씩 예수님을 믿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여러분 원조에 얼마나 그리스도인이 많은지 지금요 많은 사람들은 원조를 중국의 예루살렘이라고 부릅니다. 놀랍지 않습니까? 원조에 처음 복음을 전한 서양 선교사는 조지 스토트였습니다.
우리는 여러 가지 이유로 그 하나님의 대위임령에 참여하는 일에 우리가 여러 가지 핑계를 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만약에 조지 스토트를 생각한다면, 우리는 절대로 핑계할 수 없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그 사울이 이제 다윗이 그 일 나에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고 그를 치기 위해서 내려온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그리고 다윗은 다시 하나님께 기도합니다. 하나님 사울이 진짜 쳐들어 올 것 같습니까? 그리고 만약에 사울이 쳐들어온다면 그 그 일 나이에 있는 사람들이 저를 넘겨줄 것 같습니까? 근데 매정하게 하느님은 그럴 거다고 얘기했어요. 그래서 사울은 그곳을 떠나게 됩니다.
여러분 그일라라고 하는 그 성이 큰 성은 아니지만, 다윗이나 그 일행들에게는 정말 더할 수 없는 피난처였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어렵게 만들었던 그 기회를 하나님은 다시 노라고 얘기하시는 것입니다. 여러분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하나님의 사람으로 만들기 위해서 우리가 가장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노라고 하실 때가 있어요. 하나님은 더 많이 주시기 위해서 그렇게 하실 겁니다. 여러분 중국 내지선교회가 1950년에 중국을 떠날 수밖에 없었어요. 800명이나 되는 선교사가 정말 눈물을 흘리면서 그곳을 떠났습니다. 이제 중국 기회는 망했고 중국 선교들은 어려움을 당할 것이라고 그렇게 생각하고 있었어요.
그런데 여러분 놀라지 마십시오. 1980년 등소평에 의해서 개혁개방이 이루어진 후에 서양에는 많은 사람들이 중국을 들어가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선교사들이 중국을 떠나던 1950년에 중국에 있는 기독교인의 숫자는 50만에서 100만 정도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30년이 지난 후에 사람들이 발견한 것은 중국에 적어도 5천만 명이 넘는 그리스도인이 있다는 사실이에요. 놀랍지 않습니까? 선교사들이 그 아까운 사욕을 놓고 나왔지만 하나님의 역사였어요. 그래서 하나님이 놀라운 일을 하시는 거예요. 저희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아주 귀중하다고 생각하는 그것을 주님이 놓으라고 할 때 놓으십시오. 하나님은 그런 권리를 갖고 계세요. 우리가 가지고 있는 것들을 그것은 너의 것이 아니다. 그것은 내 것이다. 그래서 내가 너를 더 나은 곳으로 인도하기 위해서 지금 가지고 있는 것을 놔라 라고 말할 수 있는 권리가 있습니다. 우리는 그분의 말씀을 듣는 사람들입니다. 그분의 말씀을 듣는 것이 우리의 지혜를 가지고 뭔가를 결정하고 행동하는 것보다 훨씬 더 소중하다는 사실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놀라운 일은 하나님께서 그렇게 하셨을 때 14절에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다윗이 광야의 요새에도 있었고, 또 신광야 산골에도 머물렀으므로 사울이 매일을 찾되 하나님이 그를 그의 손에 넘기지 아니하십니다.
여러분 그릴라라고 하는 성이 다윗을 프로텍트 할 수 있겠습니까? 그러나 하나님은 그렇게 하실 수 있어요. 하나님은 그릴라를 떠나서 광야에 다시 방황하는 그 다윗을 하나님은 여전히 보호하고 계십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준비해 주신 어떤 선물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하나님 그분 자체세요. 오늘 여러분들이 하나님께 기도하면서 하나님이 나와 함께 하신다고 하는 것이 가장 큰 선물이라는 것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기도하겠습니다. 하나님 아버지 감사합니다. 오늘 주님께서 귀히 사랑하시는 사랑의 교회 성도님들과 그릴라에서 올렸던 다윗의 기도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습니다. 하나님 기도는 우리의 지식과 경험을 내려놓고 하나님의 뜻을 구하는 것인 줄 믿습니다.
기도-하나님 우리가 주님이 허락하시는 것들 주님이 하라고 하시는 것들을 따라하는 귀한 주님의 제자가 되게 하여 주옵소서 아버지 하나님 또 주님 주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가장 큰 사명 온 세계 복음이 전파되고 사람들이 주님을 알고 그분을 예배하게 되는 그 일을 위해서 우리가 헌신하고 그것을 실천하는 귀한 제자들 되게 하여 주옵소서 아버지 하나님 때로는 우리가 귀하다고 생각하는 그것들을 주님이 말씀하실 때 놓게 하시고 하나님 주님이 모든 것을 컨트롤하실 권리가 있다는 사실을 인정케 하여 주옵소서 그리고 주님께서 우리를 언제나 보호하시며 우리를 더 큰 곳으로 인도하신다는 사실을 기억하게 하여 주옵소서 감사드리며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했습니다.
![]()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