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제23차 봄 글로벌 특별부흥회(주후 2025년 4월 25일)-다섯째 날 [해외강사] 설교제목: “세상을 위한 기도” 성경본문 : 누가복음 19:41~48 설교자: 가빈 칼버목사님(영국복음주의연맹 대표) ----- [국내강사] 설교제목 : 기도가 답이다 성경본문: 역대하 20:1~13 설교자 : 강준민 목사님(새생명비전교회) ----- *누가복음 19:41~48, 41 가까이 오사 성을 보시고 우시며. 42 이르시되 너도 오늘 평화에 관한 일을 알았더라면 좋을 뻔하였거니와 지금 네 눈에 숨겨졌도다. 43 날이 이를지라 네 원수들이 토둔을 쌓고 너를 둘러 사면으로 가두고. 44 또 너와 및 그 가운데 있는 네 자식들을 땅에 메어치며 돌 하나도 돌 위에 남기지 아니하리니 이는 네가 보살핌 받는 날을 알지 못함을 인함이니라. 45 성전에 들어가사 장사하는 자들을 내쫓으시며. 46 그들에게 이르시되 기록된 바 내 집은 기도하는 집이 되리라 하였거늘 너희는 강도의 소굴을 만들었도다 하시니라. 47 예수께서 날마다 성전에서 가르치시니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과 백성의 지도자들이 그를 죽이려고 꾀하되. 48 백성이 다 그에게 귀를 기울여 들으므로 어찌할 방도를 찾지 못하였더라. ---- *역대하 20:1~13, 1 그 후에 모압 자손과 암몬 자손들이 마온 사람들과 함께 와서 여호사밧을 치고자 한지라. 2 어떤 사람이 와서 여호사밧에게 전하여 이르되 큰 무리가 바다 저쪽 아람에서 왕을 치러 오는데 이제 하사손다말 곧 엔게디에 있나이다 하니. 3 여호사밧이 두려워하여 여호와께로 낯을 향하여 간구하고 온 유다 백성에게 금식하라 공포하매. 4 유다 사람이 여호와께 도우심을 구하려 하여 유다 모든 성읍에서 모여와서 여호와께 간구하더라. 5 여호사밧이 여호와의 전 새 뜰 앞에서 유다와 예루살렘의 회중 가운데 서서. 6 이르되 우리 조상들의 하나님 여호와여 주는 하늘에서 하나님이 아니시니이까 이방 사람들의 모든. 나라를 다스리지 아니하시나이까 주의 손에 권세와 능력이 있사오니 능히 주와 맞설 사람이 없나이다. 7 우리 하나님이시여 전에 이 땅 주민을 주의 백성 이스라엘 앞에서 쫓아내시고 그 땅을 주께서 사랑하시는 아브라함의 자손에게 영원히 주지 아니하셨나이까. .8 그들이 이 땅에 살면서 주의 이름을 위하여 한 성소를 주를 위해 건축하고 이르기를. 9 만일 재앙이나 난리나 견책이나 전염병이나 기근이 우리에게 임하면 주의 이름이 이 성전에 있으니. 우리가 이 성전 앞과 주 앞에 서서 이 환난 가운데에서 주께 부르짖은즉 들으시고 구원하시리라 하였나이다. 10 옛적에 이스라엘이 애굽 땅에서 나올 때에 암몬 자손과 모압 자손과 세일 산 사람들을 침노하기를 주께서 용납하지 아니하시므로 이에 돌이켜 그들을 떠나고 멸하지 아니하였거늘. 11 이제 그들이 우리에게 갚는 것을 보옵소서 그들이 와서 주께서 우리에게 주신 주의 기업에서 우리를 쫓아내고자 하나이다. 12 우리 하나님이여 그들을 징벌하지 아니하시나이까 우리를 치러 오는 이 큰 무리를 우리가 대적할 능력이 없고 어떻게 할 줄도 알지 못하옵고 오직 주만 바라보나이다 하고. 13 유다 모든 사람들이 그들의 아내와 자녀와 어린이와 더불어 여호와 앞에 섰더라. ----- [해외강사] 설교제목: “세상을 위한 기도” 성경본문 : 누가복음 19:41~48 설교자: 가빈 칼버목사님(영국복음주의연맹 대표) ▶And I bring greetings to you from London and from the UK Church. We are praying for you and cheering you on you know friends There's three things from this passage that I think are really important for us today. And the first is this from verses 41 to 44 Jesus comes to this moment with great compassion you know, from the Mount of Olips, there's a great view of Jerusalem. Jesus came to the turn in the road and he stared down on the city. He doesn't just glance he stares at the city and when he stares at the city, he begins to weep because he knows what's going to happen if only the people had gone his way and not their own way. If only the people had followed the way of Christ and not pursued their own political dreams Jerusalem would have been fine. But he knows that in AD 70, the city of Jerusalem will fall because the people have gone their own way. And the tears of Jesus are the tears of God when he sees the needless pain which people bring on themselves through foolish rebellion against his will. This is an amazing moment. But Jesus's response is not judgment it's compassion. It's weeping tears for these sheep without a shepherd. And I just wonder how many of us weep tears over those who don't yet know Jesus. I was at the parliamentary prayer breakfast here in London, which takes place at the House of Commons. You may have seen that building on the news and in the House of Commons, a couple of 100 members of parliament and a couple of 100 church leaders gather to pray together for the nation. And I went to my table and on my table next to me was an Iranian pastor. Iran is the fastest growing church in the world. And this Iranian pastor had moved to the United Kingdom because he needed asylum here because he was leading too many people to Jesus in Iram. Friends I hope I stay in the UK the rest of my life but if I go somewhere else, it better be because I need asylum for leading too many people to Jesus. And he tells me stories about the Iranian revival and he says, What can I pray for for you? I said, could you pray? We see that kind of revival here in the United Kingdom but without the need for persecution. He begins to pray and fasty three lines in he starts to weep over the UK friends. I was so challenged when did I last instinctively weep over my nation? Five days later, I was at a leader's conference in the north of England and there was a Ukrainian pastor there. If you're a pastor in Ukraine, you're allowed a week out, a year to do a spiritual retreat in order to cope in the war that they're facing. He explained to me that his church was less than a 100 before the war and is now over a 1000. He said there's nothing like a war for church growth. He said, What can I pray for you? I said, could you just pray that we'd experience that kind of growth in the United Kingdom but without the need for a war you know He began to pray in Ukrainian and just a few lines in he also started to weep over the UK. The Lord was not being subtle with me. The Lord was being clear I need my heart broken again to feel compassion for those who don't yet friends Do you need your heart broken again for the least, the last and the lost in your place? So we would approach those who don't yet know Jesus with compassion. His tears are out of desperation for us to see things more clearly, to understand the Father's way and act differently. It's a bit like when you take Mary and Martha and Martha's so busy but Mary's sitting at the feet of Jesus as leaders. How often do we sacrifice intimacy for activity? Do we need our hearts broken? For those who don't yet know Jesus and to dig deeper wells in our walk with him we need to ask God to see things as he sees them, to see our place as he sees it to be broken with compassion and respond differently. I remember when I first started leading a ministry, I used to lead called Youth for Christ here in the and I went to visit a donor, a funder to try and get some money for our work. I was suited and booted a little bit like today, but even smarter and I was ready and I went in and I did all I could to get a gift from the ministry from this person. They gave us a very big gift. It was an amazing day. I was walking back to the station. I walked past the small shop there in the doorway of the shop was a lady crying. She was crying and crying and crying and I walked straight past. As I walked past, I felt the Holy spirit convicted me. How dare you walk past someone in that kind of pain? I walked back I asked her what her story was. She said that her husband had kicked her out and she needed to get to her mom's house but she didn't have any money and her mom lived in such and such a place and she was desperate. I called over a taxi cab. I asked how much to get to such and such. He said 20 pounds. I opened my wallet I had 20 pounds. I gave it to him and he took that lady off. But that day I learned a real lesson. We can't decide who matters more than others. It's not for us to decide that that rich benefactor is more important than a woman who was desperate. Everyone is someone made in the image of God. Everyone is someone that Jesus died for and we need to ask the Lord for the kind of compassion that sees people as he sees them. So we might weep over our place afresh but we might see everyone as someone Jesus died for and approach our world with compassion. But then secondly, in verses 45 to 46, as well as compassion, we need righteousness. This is an incredible moment of scripture where Jesus throws the tables over and acts with such violence. Why such violence? Well, you know, you have to pay the temple tax. Any animal had to be spotless and perfect to count as your sacrifice at the temple. And you know that the reason Jesus is crossed is not because they're selling in the temple it's because they're taking advantage of the poor. You see your animals would often get rejected at the temple and particularly from poor people. So poor people were put in a position where they nearly always had to buy off the temple sellers. The temple cellars would charge the poor 10 to 15 times what they would charge the rich. And so the very act of worship that the poor was seeking to bring is being taken advantage of. As the rich get richer, the poor get exploited. And in this moment, Jesus is furious. He throws over the tables and he says, not on my watch are you doing this? Not on my watch? Are you taking advantage of the poor in this way? You know, sometimes God's righteous anger should make us cross about things in our culture. Occasionally I think here in the United Kingdom that when people become a Christian, it's like the blood in their veins is replaced with antifreeze so they don't get cross about anything. Friends, we should be standing up and speaking up on some of the things going on in our world that are not okay. What's happening in your place that needs to change? That's not all right The 12 disciples had no problem with the selling at the temple but Jesus had the eyes of Heaven, not the eyes of his culture. Maybe some of us need to pray, Lord remove my cultural anesthetic so I don't see with eyes from my culture, but I see with the eyes of the kingdom and live out and act out what you would have for me to do in my day. Friends, we need compassion to see people as those that Jesus loves and died for. But we also need the righteousness to say our culture needs to change to be more like the kingdom. What is going on in your place and space that you need to change? Where do we need to say, Lord Give us your eyes on our culture don't let our cultural anesthetic take over so we need compassion we need righteousness. And finally, verses 47 to 48, we need courage. At this point, the authorities could not arrest him for the people hung on his every word but every time he spoke, he took his life in his hands and he knew full well that it was only a matter of time. Verse 47 says this every day he was teaching at the temple but the chief priests, the teachers of the law and the leaders among the people we were trying to kill him they were after him. But you know, in our day, our courage should match the courage of our Lord. He left us an example. We should never be ashamed to show whose we are and who we serve and certainly here in my nation, I feel we're living in wartime, spiritually not peacetime. The price tag of being a Bible believing Christian is higher than it's been for. So of the opportunities we're seeing all kinds of opening. We're seeing the start of a new openness in the United Kingdom and beyond that we've not seen for ages. And what an open culture needs is a courageous church that will stand up, speak up and act and be different in our day in order to make the most of the openness and show people what hope is in what is so often a hopeless narrative. You know, being courageous sometimes means doing things we don't understand what power they could have but doing them anyway. It's been marked recently five years since the start of the Coronavirus pandemic, which reminded me of that moment five years ago when I first had to preach into an iPhone. I've never done it before. I didn't know what we transfer was. I didn't know how to do it. It was one week into the first lockdown here in the United Kingdom. No one knew how to do it No one knew what the settings on your phone were supposed to be No one knew what etiquette was for preaching into a phone. So I just did it the same as I'd always done it. I set a phone up I preached for 40 minutes would you believe? Non stop I paid my daughter, who was a teenager, five pounds to stand behind the camera so I could at least imagine someone was watching and it was an evangelistic event the talk was for. So after a 40 minute preach, I then did a response prayer in which I repeated the lines and left space for someone to pray the prayer with me. I had never preached into a phone. It all felt very weird. Then I sent it off to the conference where it was going to be played. It was played and the night it was played, I got a message on Facebook from a wife she'd been married for over 25 years. Her husband had no interest in Christianity at any point. She'd been watching my talk on her television. She had to watch it on the television. That was the only way to see it. So because she was in her lounge, her husband was also in the room, sat on the same sofa as her on the other end, reading a newspaper. When it came to the end where I prayed the prayer where you could repeat it if you wanted to surrender your life to Jesus and become a Christian her husband started repeating the prayer. She couldn't believe this. She'd never imagined her husband would ever become a Christian and yet he sat on the same sofa. She thought he wasn't listening. He was listening the whole time and then he was praying a prayer as he gave his life to Jesus friends. If that conference had gone ahead as normal, I would have been in the room and the husband wouldn't have been anywhere near. Sometimes when we're courageous with Jesus, he takes our small offerings, multiplies them and uses them beyond our imaginations in ways we could never have thought possible because he's a God who moves mountains and wants to do that today. So it's been a delight to share with you. But from this passage in Loke 19, the three takeaways to pray into how can we have more compassion for those who don't yet know Jesus? How can we have our hearts broken afresh that we would weep over the lost? Secondly, how can we be a people of righteousness people who say, you know what that is wrong that can't go on our watch we will stand up and speak up and act up for the kingdom because things are taking place that are not okay. And finally, in a season where it feels open, how can we be the kind of courageous change that gets hold of the opportunities in front of us shares our hope as hope as a name and his name is Jesus. And what we need in this day is a compassionate, righteous, courageous kind of leadership that will change your mission and the nation's congression. --- 저는 런던과 영국 교회로부터 인사를 전합니다. 우리는 여러분을 위해 기도하고 있고, 여러분을 응원하고 있습니다. 이 본문에서 오늘날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세 가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첫 번째는 누가복음 19장 41~44절입니다. 예수님은 깊은 연민(compassion) 을 품고 이 장면에 다가가십니다. 감람산에서는 예루살렘이 한눈에 내려다보입니다. 예수님은 길이 꺾이는 지점에서 도시를 바라보셨습니다. 잠깐 쳐다본 것이 아니라, 도시를 뚫어지게 바라보셨고, 그 도시를 바라보며 울기 시작하셨습니다. 왜냐하면 앞으로 일어날 일을 아셨기 때문입니다. 만일 그 백성들이 예수님의 길을 따르고 자기 길을 고집하지 않았더라면, 그리스도의 길을 따르고 자기 정치적 꿈을 좇지 않았더라면, 예루살렘은 멀쩡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주님은 아십니다. 주후 70년에 예루살렘은 멸망하게 될 것을. 백성들이 제 길로 갔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의 눈물은, 하나님의 눈물입니다. 자기 뜻을 거스르는 어리석은 반역을 통해 사람들이 스스로에게 초래하는 고통을 볼 때 하나님께서 흘리시는 눈물입니다. 이 순간은 놀라운 장면입니다. 하지만 예수님의 반응은 심판이 아니라 연민입니다. 목자 없는 양들을 보며 흘리는 눈물입니다. 여러분은 얼마나 자주, 아직 예수님을 모르는 이들을 위해 눈물을 흘려보셨나요? 저는 최근 런던의 ‘의회 기도 아침 모임(Parliamentary Prayer Breakfast)’에 참석했습니다. 그 모임은 국회의사당에서 열리고, 수백 명의 국회의원들과 교회 지도자들이 함께 나라를 위해 기도합니다. 그 자리에서 제 옆자리에 앉은 분은 이란 출신의 목사님이셨습니다. 이란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교회가 성장하고 있는 나라입니다. 이 목사님은 너무 많은 사람들을 예수님께로 인도했다는 이유로 박해를 받아 영국에 망명을 요청하셨습니다. 저는 그분께 말했습니다. “저는 평생 영국에 머물고 싶지만, 만약 떠나게 된다면 예수님께 너무 많은 사람을 인도해서 망명을 가야 한다면 좋겠어요.” 그분은 이란에서 일어난 부흥 이야기를 들려주시고, 저에게 묻습니다. “제가 당신을 위해 무엇을 기도해드릴까요?” 저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우리는 그런 부흥을 박해 없이 영국에서 경험하고 싶습니다.” 그분은 기도를 시작했고, 세 줄 정도 기도하시다 울음을 터뜨리셨습니다. 그분은 영국을 향해 울고 계셨습니다. 저는 깊은 도전을 받았습니다. “내가 마지막으로 내 나라를 위해 본능적으로 눈물 흘렸던 것이 언제였던가?” 5일 뒤, 저는 영국 북부에서 열린 리더십 컨퍼런스에 참석했습니다. 그 자리에는 우크라이나 목사님도 계셨습니다. 우크라이나에서는 목회자에게 전쟁 속에서도 영적 수련을 위해 일 년에 일주일간 쉬는 시간을 줍니다. 그분은 제게 말했습니다. “전쟁 전 교회는 100명이 채 안 되었지만, 지금은 천 명이 넘습니다. 전쟁만큼 교회 성장을 일으키는 것도 없습니다.” 그리고 묻습니다. “제가 무엇을 위해 기도할까요?” 저는 대답했습니다. “전쟁 없이 그런 부흥을 영국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기도해 주세요.” 그분은 우크라이나어로 기도를 시작했고, 몇 줄 지나지 않아 그분도 울기 시작했습니다. 하나님은 저에게 매우 분명하게 말씀하셨습니다. “너의 마음이 다시금 부서져야 한다. 아직 주를 모르는 이들을 향해 연민으로 가득해야 한다.” 여러분도 마음이 다시금 부서져야 하지 않나요? 가장 낮고, 잃어버린 자들을 위해? 예수님의 눈물은 절박함에서 나옵니다. 우리가 더 분명히 보기를, 아버지의 길을 이해하고 다르게 행동하길 바라시기 때문입니다. 둘째, 45~46절: 연민과 함께 필요한 것은 의로움입니다. 이 본문은 성경에서 정말 강렬한 장면 중 하나입니다. 예수님이 상을 뒤엎고 격렬하게 행동하신 장면이죠. 왜 이렇게 격렬했을까요? 당시에 성전 세를 내야 했고, 제사에 바칠 짐승은 흠 없이 완전해야 했습니다. 예수님이 분노하신 이유는 단순히 성전에서 물건을 팔고 있어서가 아닙니다. 문제는, 그들이 가난한 사람들을 착취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가난한 이들이 가져온 짐승은 종종 ‘불합격’ 판정을 받았습니다. 그러면 성전에서 파는 짐승을 살 수밖에 없었고, 그들은 부자에게는 정가를, 가난한 자에게는 10~15배의 가격을 매겼습니다. 예배를 드리기 위한 가난한 이들의 진심과 노력이 이익을 노리는 자들에게 이용당하고 있었던 겁니다. 예수님은 이런 모습을 보시고 분노하십니다. “내가 보는 앞에서 이런 일이 일어나게 둘 수 없다.” “내가 지켜보는 한, 가난한 자들이 착취당하게 두지 않겠다.” 하나님의 의로운 분노는, 우리 안에서도 일어나야 합니다. 때로는 우리 문화에 존재하는 잘못된 것들에 대해 분노할 줄 알아야 합니다. 어쩌면, 영국에서는 사람들이 그리스도인이 되면 정맥 속의 피가 부동액으로 바뀐 것처럼 아무것에도 분노하지 않게 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목소리를 내고, 행동하고, 진리를 드러내야 합니다. 여러분의 삶의 자리에는 어떤 부정의가 존재하나요? 여러분의 도시, 공동체, 교회 안에서 "이건 옳지 않다"고 말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요? 제자들은 성전에서 물건 파는 것에 아무런 문제의식을 갖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예수님은 하늘의 눈으로 그것을 바라보셨습니다. 문화의 시선이 아니라, 하나님의 시선으로 본 것입니다. 우리는 이렇게 기도해야 합니다. “주님, 저의 문화적 마취제를 제거해 주세요. 세상의 시선이 아니라 하늘의 눈으로 보게 하소서.” 그래서 세상이 변화되고, 하나님 나라의 가치가 이 땅에 임하도록 해야 합니다. 우리는 사람들을 예수님께서 보신 그 눈으로 바라보는 연민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동시에, 세상이 하나님 나라의 모습으로 바뀌기를 바라는 의로움도 필요합니다. 셋째, 47~48절: 마지막으로 필요한 것은 ‘담대함’입니다. 이 시점에서, 예수님은 매일 성전에서 가르치셨지만, 대제사장들과 율법학자들, 지도자들은 그분을 죽이려고 벼르고 있었습니다. 예수님은 매번 말씀하실 때마다 자신의 생명을 내거셨습니다. 그분은 끝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을 알고 계셨습니다. 오늘날 우리도 예수님의 담대함을 따라야 합니다. 우리는 자신이 누구에게 속했는지, 누구를 섬기는지 부끄러워하지 말아야 합니다. 특히 영국과 같은 나라에서는 지금이 ‘영적 전시 상태’라고 느껴집니다. 말씀대로 살아가는 데 드는 대가가 그 어느 때보다 커졌습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전에 없이 열린 기회의 문도 열리고 있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교회는 담대하게 일어서고, 말하고, 행동해야 합니다. 희망이 사라진 세상 속에서 진짜 희망이 무엇인지 보여줘야 합니다. 담대함이란, 때로는 우리가 그 결과를 알 수 없는 일을 순종으로 행하는 것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지 5년이 지난 지금, 저는 그 첫 해를 떠올립니다. 처음으로 아이폰을 향해 설교를 해야 했습니다. 그때 저는 WeTransfer가 뭔지도 몰랐고, 핸드폰 설정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카메라 앞 설교 예절이 뭔지도 몰랐습니다. 영국 전역이 봉쇄된 지 일주일째였고, 아무도 어떻게 해야 할지 몰랐습니다. 그래서 저는 늘 하던 대로 했습니다. 핸드폰을 세워놓고, 40분 동안 논스톱으로 설교했습니다. 딸에게 5파운드를 주고 카메라 뒤에 서 있으라고 했습니다. 그래야 누군가 듣고 있다는 상상을 할 수 있었으니까요. 그 영상은 전도 집회용이었고, 설교 후에는 영접 기도를 했습니다. 저는 한 줄씩 기도문을 읽고, 따라할 수 있게 잠시 멈췄습니다. 그 후, 영상은 회의에 전달되어 상영되었고, 그날 밤 페이스북 메시지를 한 통 받았습니다. 어느 아내로부터였습니다. 그녀는 25년 이상 결혼한 남편과 함께 집에 있었는데, 남편은 평생 교회나 신앙에 관심이 없었던 사람이라고 했습니다. 그녀는 TV로 제 설교를 보고 있었고, 같은 소파의 반대쪽 끝에 앉은 남편은 신문을 읽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기도의 시간이 되자, 그 남편이 기도문을 따라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녀는 믿을 수 없었습니다. 그는 평생 신앙에 관심 없었던 사람이었지만, 그날 주님께 마음을 열고, 구원의 기도를 따라 했던 것입니다. 만약 그 집회가 대면으로 열렸다면, 그 남편은 그 방에 있지 않았을 것입니다. 친구 여러분, 우리가 예수님 안에서 담대하게 행하면, 하나님은 우리의 작은 순종을 받아 생각지도 못한 방식으로 역사하십니다. 왜냐하면 그분은 지금도 산을 옮기시는 하나님이시기 때문입니다. ♣요약 이처럼 누가복음 19장에서 우리는 세 가지를 붙잡아야 합니다: 연민, 의로움, 담대함. 1. 아직 예수님을 모르는 사람들을 향해 마음이 부서지고, 눈물을 흘릴 수 있는 연민. 2. 세상의 잘못을 보고 “그건 옳지 않다”고 외칠 수 있는 정의감과 의로움. 3. 열린 시대 속에서 희망을 전하는 담대한 교회로 살아가는 용기. -우리의 사명과 이 나라의 회복을 위해, 이 세 가지가 우리 삶과 리더십에 꼭 필요하다. ![]() ![]() ================================ [국내강사]-초빙 설교제목 : "기도가 답이다" 성경본문: 역대하 20:1~13 설교자 : 강준민 목사님(새생명비전교회) ----- *역대하 20:1~13,
1 그 후에 모압 자손과 암몬 자손들이 마온 사람들과 함께 와서 여호사밧을 치고자 한지라.
2 어떤 사람이 와서 여호사밧에게 전하여 이르되 큰 무리가 바다 저쪽 아람에서 왕을 치러 오는데 이제 하사손다말 곧 엔게디에 있나이다 하니.
3 여호사밧이 두려워하여 여호와께로 낯을 향하여 간구하고 온 유다 백성에게 금식하라 공포하매.
4 유다 사람이 여호와께 도우심을 구하려 하여 유다 모든 성읍에서 모여와서 여호와께 간구하더라.
5 여호사밧이 여호와의 전 새 뜰 앞에서 유다와 예루살렘의 회중 가운데 서서.
6 이르되 우리 조상들의 하나님 여호와여 주는 하늘에서 하나님이 아니시니이까 이방 사람들의 모든. 나라를 다스리지 아니하시나이까 주의 손에 권세와 능력이 있사오니 능히 주와 맞설 사람이 없나이다.
7 우리 하나님이시여 전에 이 땅 주민을 주의 백성 이스라엘 앞에서 쫓아내시고 그 땅을 주께서 사랑하시는 아브라함의 자손에게 영원히 주지 아니하셨나이까.
.8 그들이 이 땅에 살면서 주의 이름을 위하여 한 성소를 주를 위해 건축하고 이르기를.
9 만일 재앙이나 난리나 견책이나 전염병이나 기근이 우리에게 임하면 주의 이름이 이 성전에 있으니. 우리가 이 성전 앞과 주 앞에 서서 이 환난 가운데에서 주께 부르짖은즉 들으시고 구원하시리라 하였나이다.
10 옛적에 이스라엘이 애굽 땅에서 나올 때에 암몬 자손과 모압 자손과 세일 산 사람들을 침노하기를 주께서 용납하지 아니하시므로 이에 돌이켜 그들을 떠나고 멸하지 아니하였거늘.
11 이제 그들이 우리에게 갚는 것을 보옵소서 그들이 와서 주께서 우리에게 주신 주의 기업에서 우리를 쫓아내고자 하나이다.
12 우리 하나님이여 그들을 징벌하지 아니하시나이까 우리를 치러 오는 이 큰 무리를 우리가 대적할 능력이 없고 어떻게 할 줄도 알지 못하옵고 오직 주만 바라보나이다 하고.
13 유다 모든 사람들이 그들의 아내와 자녀와 어린이와 더불어 여호와 앞에 섰더라.
-----
▶기도하겠습니다. 하나님 감사합니다. 이렇게 아름답고 또 소중한 공동체를 세우시고 또 나라와 민족을 위해서 열방을 위해서 또 다음 세대를 위해서 기도하게 하신 하나님께 영광을 올려드립니다.
오늘 우리 마음의 영혼이 고요해서 하나님 음성을 들을 때에 하나님의 임재하심과 기도와 찬양의 능력을 경험하게 하옵소서 예수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제 설교를 하고 났는데 목회자는 설교하고 나면 이렇게 복귀를 하게 됩니다. 설교를 잘했나 못했나 근데 어제 설교가 끝났는데 저는 굉장히 중요한 설교를 했는데 신자들의 성도들이 궁금한 것은 전화할 기회를 찾았는가 못 찾았는가 정말 좀 절망할 뻔했습니다. 정말 중요한 설교를 했는데 첫 번부터 전화기 끝날 때까지 궁금해가지고 설교가 잘 안 들어오신 것 같아요.
전화기 찾았습니다. 네 가끔 우리가 성경을 묵상할 때도 정말 중요한 걸 놓칠 때가 많아요.
마가 2장에 보면 중풍병자가 친구들에 의해서 와서 지붕을 뚫고 예수님께 나가잖아요. 굉장히 중요한 메시지가 많은데 어떤 분들은 그 말씀을 묵상하면서 지붕을 누가 고쳤을까 정말 중요한 거 놓치고 그것 해결이 안 돼서 다른 진도를 못 나갑니다. 또 누가복음 5장에 보면 고기를 많이 잡아주잖아요. 그런데 예수님 만나고 다 버리고 갑니다. 누가 가져갔을까? 그것도 궁금하고 우리가 가끔 말씀을 들을 때도 핵심을 놓칠 때가 많은데 오늘 우리 가슴속에 기도가 답이다. 기도가 불패다. 그런 메시지가 가슴에 새겨지기를 축원합니다.
*하나님은 큰 문제를 통해서 큰 기적을 경험케 하십니다.
-여호사밧 왕은 큰 문제를 만났습니다. 오늘 1절 2절에 보시면,
*역대하 20:1~2,
1 그 후에 모압 자손과 암몬 자손들이 마온 사람들과 함께 와서 여호사밧을 치고자 한지라.
2 어떤 사람이 와서 여호사밧에게 전하여 이르되 큰 무리가 바다 저쪽 아람에서 왕을 치러 오는데 이제 하사손다말 곧 엔게디에 있나이다 하니.
-그의 모압 자손과 암몬 자손들이 마원 사람들과 함께 와서 여호사밧을 짓고자 한지라 어떤 사람이 와서 여호사밧에게 전해 이르되 큰 무리가 바다 저쪽 가람에서 왕을 치러 오는데 이제 하사손다말 곧 옮기 있나이다 하니 큰 무리가 왔다. 이게 큰 무리라는 말이 두 번 반복이 되죠. 큰 무리라는 말은 큰 문제라는 것입니다. 인생의 문제의 연속이죠.
그리고 문제 하나가 끝나면 또 다른 문제가 찾아오는데 문제가 문제가 아니라 문제를 어떻게 보느냐 가 문제인 것입니다. 어떤 사람 문제 때문에 큰 복을 받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문제 때문에 무너지는 사람도 있습니다.
여호수아 밭은 큰 문제 때문에 큰 기적을 경험했어요. 큰 복을 경험했거든요. 이게 이제 우리 인생의 신비입니다. 어떤 사람 문제 때문에 더 잘 되는데 어떤 사람 문제 때문에 더 어려워지는가, 이 큰 문제 속에는 큰 복의 씨앗이 담겨 있습니다. 큰 문제 속에는 큰 형통의 씨앗이 담겨 있습니다. 문제가 없다면 기적도 없습니다.
저는 이제 목회 초기에 문제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문제가 너무 싫더라고요. 그런데 성경을 연구하다 보니까 문제가 없으면 기적이 없어요. 문제가 있는 곳에 기적이 있습니다. 가나 혼인잔치에 모자랑 포도주가 떨어진 문제 때문에 가나 혼인 잔치에 기적이 있고요. 그리고 먹을 게 없기 때문에 오병 이외의 기적이 있습니다.
모든 기적 속에는 문제가 있고 문제는 기적을 창조하는 재료가 되는 것입니다. 우리가 문제를 싫어하지만 문제는 우리에게 기적을 선물해 주는 것입니다. 그래서 문제를 어떻게 보느냐가 굉장히 중요한 것입니다. 문제가 문제가 아닙니다. 문제를 어떻게 보느냐 어떻게 해결하느냐가 어떻게 반응하느냐가 중요한 것입니다. 아마 자녀들 가운데 가끔 그런 생각하잖아요. 키우다 보면 이게 문제덩어리, 큰 문제 덩어리, 그런데 그 큰 문제덩어리가 큰 복덩이가 될 수 있습니다.
이게 이제 하나님이 하시는 일들이 그렇거든요. 우리가 직면한 많은 문제들이 있지만 그 문제들이 하나님의 손에 잘만 다뤄지면 우리는 그걸 너무 하나님이 요리를 잘하시는 분이시잖아요. 제가 가끔 이제 신달자 시인의 불행이라는 시를 가끔 이렇게 하는데 짧아요. 함부로 버리지 마라. 다 정확한 건 아니지만 네 박살 난다. 불행이라는 박을 잘못하면 던지면 박살 나잖아요. 그러면서 세 번째가 중요해요. 그것도 잘 주무르면 옥이 되느니. 우리는 불행이면 무조건 나쁘다고 생각하는데 불행이 잘만 주무르면 보석이 될 수 있는 거죠.
진주는 전부 상처를 통해서 만들어지는 거거든요. 근데 요한계시록 보게 되면 하나님 나라의 상징적인 그림 중에 하나가 진주 문이거든요.
여러분 진주문이 문 하나가 진주로 있다면 그 진주가 얼마나 크겠습니까? 그 말은 그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기 위한 하나님 역사 가운데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함께 예수님의 큰 고난, 큰 고난 때문에 만들어진 큰 진주, 이게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는 문인 것이죠. 예수님의 보혈의 큰 능력, 그러니까 진주 문이라는 것은 사실은 고난의 문제인 겁니다.
큰 문제가 큰 진주를 만드는 것을 보게 됩니다. 여기서 봐서는 이 큰 문제 때문에 정말 잘 됩니다. 결론부터 미리 말씀드리는 게 좋다고 그래요. 25절을 보세요.
20장 25절에 보면 한번 같이 읽어보겠습니다.
*역대하 20:25,
25 여호사밧과 그의 백성이 가서 적군의 물건을 탈취할새 본즉 그 가운데에 재물과 의복과 보물이 많이 있으므로 각기 탈취하는데 그 물건이 너무 많아 능히 가져갈 수 없을 만큼 많으므로 사흘 동안에 거두어들이고.
-큰 문제 때문에 큰 노략물이 생긴 겁니다. 너무너무 놀라워요. 사흘 동안 물건을 취해도 다 취할 수가 없는 겁니다. 큰 문제가 큰 기적과 큰 축복을 가져온 것입니다. 여러분이 질문해 봐야 됩니다.
기도가 답이다. 그렇게 얘기했는데 어떻게 하면 기도가 답이 될 수 있을까 이게 중요한 것 같아요. 샌데고의 해변가에서 한 여인이 자살을 했습니다. 그런데 그 여인이 타고 온 차 뒤 스티커에 놀라운 글이 적혀 있습니다.
"예수님이 답이다. 지저스 이스 디 앤서(Jesus is the answer)"
그 여인은 스티커는 붙였지만 예수님이 어떻게 답이 되는가를 몰랐던 거예요. 우리가 기도가 답이다. 예수님이 답이다. 그러면 우리가 분명히 설명을 해줘야 됩니다. 어떻게 답이 되는지 어떻게 기도가 답이 되고 어떻게 예수님이 답이 되는지 좀 자세하게 누가복음 24장 예수님께서 자세하게 제자들에게 설명해 주신 것처럼 설명해 줄 필요가 있잖아요.
오늘 또 여호사밧 왕의 큰 문제 큰 무리를 만났는데, 그것도 암몬 사람과 모압 사람입니다. 이게 암몬 모압이 누구냐 하면, 아브라함 조카 롯의 딸들이 조카 롯과 동침해서 낳은 후손들이거든요. 그러니까 외부의 적이 아닙니다. 가장 무서운 적은 내부에 있는 겁니다.
여러분 그걸 아셔야 됩니다. 여러분 등 뒤에다가 칼을 꼽으려면 멀리 있는 사람 못 꼽습니다. 가까이 가야만 꺾는 것입니다. 여러분에게 상처를 준 사람들은 저기 저기 나이제리아나 캐나에 있는 사람들이 아니라, 바로 한 평 땅 안에 살고 있는 그 사람이 여러분에게 상처를 주는 겁니다. 물론 우리의 눈물을 닦아주는 것도 가까이 있어야 됩니다.
요한계시록 보면 예수님께서 목자가 되서 우리의 눈물을 닦아주시면 돼요. 눈물을 닦아주려면 가까이 오셔야 됩니다. 하나님께서 우리 인가를 만드시고 우리 코에다가 생기를 부으셨거든요. 생기를 불어 오시려면 가까이 가서 오셔야 됩니다.
그러니까 이게 하나님께 가까이 그리고 우리가 가까이 있는 사람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또한 가까이 있는 에서와 야곱, 요셉과 그 형제들, 이스라엘과 남유다 이게 뭐 어쩔 수 없는 겁니다. 왜 그러냐고 묻지 마세요. 그게 인생이라는 겁니다.
그러니까 지금 여호수밭이 지금 모압과 암몬 또 새 윗 사람들이거든요. 이거 다 형제들입니다. 근데 이 사람들이 지금 괴롭히러 온 거거든요. 그것도 연합해 가지고 그럼 어떻게 이 큰 문제가 큰 복이 되게 할 수 있겠는가,
첫째로, 문제보다 크신 하나님을 바라보는 것이 지혜입니다.
-인간의 가장 중요한 것은 시선입니다. 우리가 어디에 시선을 두는가 어디를 바라보느냐가 우리 인생을 결정하는 겁니다. 여호사밧은 큰 문제를 만났지만 문제보다 크신 하나님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3절의 말씀을 같이 읽겠습니다. 시작,
3 여호사밧이 두려워하여 여호와께로 낯을 향하여 간구하고 온 유다 백성에게 금식하라 공포하매.
-하나님께로 향했거든요. 문제를 향해 보면 문제가 커집니다. 그리고 문제를 계속 보면 문제가 점점 커지죠. 근데 문제에서 눈을 떼서, 문제보다 크신 하나님께 낯을 향하여 본 순간 이렇게 스토리가 달라지거든요. 그 여호사밧이 낯을 하나님께 향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음성을 들었습니다. 하나님께서 말씀하신 대로 음성을 듣습니다. 이게 물론 이제 야하시엘을 통해서 들은 음성이지만 역대 20장 15절에 보시면 15절 말씀 한번 같이 읽겠습니다.
*역대상 20:15,
15 야하시엘이 이르되 온 유다와 예루살렘 주민과 여호사밧 왕이여 들을지어다 여호와께서 이같이 너희에게 말씀하시기를 너희는 이 큰 무리로 말미암아 두려워하거나 놀라지 말라 이 전쟁은 너희에게 속한 것이 아니요 하나님께 속한 것이니라.
-전쟁은 하나님께 속한 것입니다. 이걸 이제 하나님의 음성을 듣게 된 것입니다.
여호사밧 왕을 연구해 보면 그는 참 대제사장을 참 소중히 여겼고요. 또 레이 사람들을 소중히 여겼고 영적인 지도자들을 아주 소중히 여겼던 사람이에요. 그는 기도를 알았고, 그는 경배를 알았고, 찬양의 능력을 알았던 사람이에요.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음성을 들은 거죠. 17절에 보시면 같이 읽어보겠습니다.
*역대하 20:17,
17 이 전쟁에는 너희가 싸울 것이 없나니 대열을 이루고 서서 너희와 함께 한 여호와가 구원하는 것을 보라 유다와 예루살렘아 너희는 두려워하지 말며 놀라지 말고 내일 그들을 맞서 나가라 여호와가 너희와 함께 하리라 하셨느니라 하매.
-우리는 큰 것을 만나면 좀 두려워하잖아요. 그래서 정탐꾼 가운데 12명 가운데 10명은 가난한 백성을 보면서 그들은 거인이고 우리는 메뚜기라고 그랬어요. 10명의 정탐꾼들은 항상 부정적입니다.
여러분 부정적인 사람이 대부분입니다. 12명 가운데 10명은 부정적입니다. 그러니까 여러분들 주위에서 부정적인 사람 만났을 때 기분 나쁘게 생각하지 마세요.
그건 당연한 거예요. 이해가 안 되나 보신데 12명 가운데 10명은 부정적인 사람인 거죠. 그리고 온 백성이 다 원망했거든요. 두 명은 달랐습니다. 똑같은 걸 봤습니다. 10명은 그들은 거인이라는 거예요. 그런데 여호수와 갈렙은 그들은 우리의 밥이라는 거예요.
왜? 여호수아와 갈렙은 하나님의 안목으로 본 거거든요. 근데 10명의 정탐군은 하나님 없이 본 거죠. 그 문제를 직면했을 때 하나님과 함께 볼 것이냐 아니면 내 생각 내 신념으로만 바라볼 것인가 신념과 믿음은 달라요. 신념은 내 안에서 난 거고 믿음은 하나님께서 주신 거예요. 믿음은 하나님께로부터 난 거고요. 하나님의 안목으로 보는 게 믿음이고 그렇게 반영하는 게 믿음이고요. 내 안에서 나오는 건 신념이죠. 이거 이념이죠. 이건 인간이 만들어내는 거죠. 위험한 것이죠. 성경을 거듭 보세요.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아브라함이 갔다.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순종한다.
이게 다윗의 생애이고 여호사밧의 말씀이잖아요. 우리는 너무 큰 걸 두려워하죠. 그니까 지금 큰 물이 큰 걸 두려워하죠. 참 여러분이 대단합니다. 이 큰 교회를 두려워하지 않고 나온다는 게 정말 대단한 것 같아요. 그러니까 골리앗 장군과 이스라엘 백성이 전쟁할 때 왜 골리앗을 두려워하죠? 그 골리앗이 몸이 컸거든요. 목소리도 컸거든요. 그래서 사무엘상 17장 4절에 보면, 블레셋의 사람들이 지는 싸움을 그래서 사무엘상 17장 4절에 보면,
*사무엘상 17:4,
4 블레셋 사람들의 진영에서 싸움을 돋우는 자가 왔는데 그의 이름은 골리앗이요 가드 사람이라 그의 키는 여섯 규빗 한 뼘이요.
-블레셋 사람들이 지는 싸움을 돋우는 자가 왔는데 이게 싸움 잘 돋우는 사람들이 블레셋 사람들, 아말렉 사람들, 암몬 마을 사람이 싸움을 되게 좋아해요. 그의 이름은 골리앗이요. 가을 사람이라. 그 키는 6개 및 한 뼘이요. 8절,
8 그가 서서 이스라엘 군대를 향하여 외쳐 이르되 너희가 어찌하여 나와서 전열을 벌였느냐 나는 블레셋 사람이 아니며 너희는 사울의 신복이 아니냐 너희는 한 사람을 택하여 내게로 내려보내라.
-목소리가 큰 거예요. 몸집도 큰 거죠. 다 두려워합니다. 11절에 보면,
11 사울과 온 이스라엘이 블레셋 사람의 이 말을 듣고 놀라 크게 두려워하니라.
-사람들은 큰 무리를 보거나 큰 목소리를 듣거나 사람이 크면 두려워하죠. 여기서 우리 중요한 원리를 발견하게 됩니다. 우리가 바라보는 것이 우리의 생각에 영향을 끼칩니다. 우리가 듣는 것이 우리 생각에 영향을 끼칩니다. 우리 생각이 우리의 감정에 영향을 끼치는 것입니다. 똑같은 게 재미있어요. 사울 왕은 큰 골리앗을 보면서 너무 두려워하는 거죠. 그 다윗은 너무 기분 좋아요. 왜 크니까 물맷돌 던지면 잘 맞을 거라는 거예요.
그러니까 똑같은 사람을 보고도 두려워하고 다윗은 이거 잘 맞겠다 이거 그러니까 똑같은 두 사람 아프리카에 갔답니다. 아프리카에 가서 한 세지면은 본사를 바로 열라고 그랬습니다. 구두 주문 취소, 구두 판매 불가능 모두가 신을 안 신어줬어요. 다른 사람이 가서 당장 이라고 그랬더래요. 구두 주문 배가 모든 사람에게 실현시킬 것. 똑같은 사건을 보고도 어디를 보냐는 거죠. 가능성을 볼 것인가, 아니면 불가능을 볼 것인가,
여호수아는 지금 하나님의 능력을 보고 하나님을 바라보고 있는 거고, 다윗도 하나님을 보고 있는 거죠. 만군의 여호와 하나님이 자기와 함께하신 것을 본 것입니다.
골리앗은 다윗을 과소 평가합니다. 그리고 말하죠. 내가 나를 개로 보는구나. 근데요. 다신 그렇죠. 다윗의 문제를 정확히 본 사람이죠. 문제를 정확하게 봅니다.
골리앗을 기회로 보지 않습니다. 골리앗을 사자와 곰으로 봅니다. 하나님을 의지해서 나가는데 사자와 곰으로 골리앗을 대하거든요. 그러니까 우리가 인생에 정말로 승리하려면 우리의 경쟁자를 과소평가하면 안 돼요. 다윗의 문제를 과대평가하지도 않았고 과소평가하지도 않았고 있는 그대로 본 거죠. 골리앗은 사자와 공부 같은 사람이야. 그래서 만만하게 보면 안 되는 거죠. 근데 이미 그는 사자와 곰을 여러 번 죽였거든요. 이 문제를 과대 평가하지도 않는 거, 과소 평가하지도 말고 있는 그대로 봐야 됩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크심을 보는 것 이게 이제 우리의 신앙인 것입니다. 여호사밧이 참 지혜롭습니다. 3절 다시 한 번 읽어볼까요?
*역대하 20:3,
3 여호사밧이 두려워하여 여호와께로 낯을 향하여 간구하고 온 유다 백성에게 금식하라 공포하매.
-여러분 지도자들이 두 가지가 같이 있습니다. 하나는 겁이 많고요. 하나는 영맹스럽습니다. 저도 겁이 많아요. 근데 개척을 두 번이나 했어요. 여러분 이게 대단한 거거든요. 오 목사님이 겁이 많을까요? 안 많을까요? 안 많아요. 두 가지가 지도자들의 특징입니다. 굉장한 두려움과 함께 굉장한 용기가 함께 역설적으로 존재하는 게 지도자들의 특징이죠.
여호사밧이 두려워하죠. 그러나 하나님을 바라보면서 그는 담력을 얻게 됩니다.
여러분 시선이 바뀌면 생각이 바뀝니다. 기도는 우리의 시선을 문제에서 하나님께로 옮기는 것입니다. 크신 하나님을 바라보면 문제는 작아집니다. 영혼의 시각에서 문제를 바라보면 문제는 작아집니다.
*기도란 크신 하나님과 함께 문제를 바라보는 것입니다.
인생은 초점 맞추기입니다. 문제에 초점을 맞출 것인지 아니면 하나님께 초점을 맞춘 것인지 12절을 다시 한번 같이 읽어볼까요? 시작
12 우리 하나님이여 그들을 징벌하지 아니하시나이까 우리를 치러 오는 이 큰 무리를 우리가 대적할 능력이 없고 어떻게 할 줄도 알지 못하옵고 오직 주만 바라보나이다 하고.
-하나님만 바라보는 것이거든요. 여호수아서 문제를 무시하지 않습니다. 큰 무리를 인정합니다. 그러나 그는 능력의 한계를 인정하고 한계를 뛰어넘습니다. 이게 지혜로운 거예요. 크리스천들은 상식적이어야 됩니다. 몰상식한 건 크리스 아닙니다. 그러나 상식이 제일 중요해요. 요즘 제가 한국 교회를 보면요. 몰상식해요. 상식적이지 않아요. 상식이 지혜인 거예요. 그래서 거기서 멈추면 안 됩니다.
상식을 뛰어넘는 것이 그리스도인이에요. 상식을 무시하지 마세요. 제발 몰상식하지 않도록 하셔야 됩니다. 우리는 상식이 지혜고 그러나 상식을 뛰어넘어야 됩니다. 한계를 인정하는 사람만이 한계를 뛰어넘는 거예요.
다윗이 사울 왕의 옷을 입혀주니까 입지 않아요. 자기 맞지 않는다는 거죠. 한계를 인정해요. 그러나 거기서 한계를 뛰어넘는 거잖아요. 우리 크리스천들이 지금 나라를 살리고 민족을 살리려면 한계를 인정하셔야 됩니다. 문제도 인정하셔야 됩니다. 그러나 거기서 어떻게 뛰어넘을 것인가를 생각해야 됩니다. 그래서 그는 고백하잖아요. 오직 주만 바라보나이다 따라서 해보세요. 오직 주만 바라보나이다.
여호사밧은 대단한 왕이죠. 왜냐하면 백성들은 하나님을 바라보도록 하는 거예요. 제가 사랑의 교회에 와서 늘 경험하는 게 뭐냐면 오 목사님이 찬양 인도와 말씀을 할 때마다 온 성도를 하나님께로 인도하는 거예요. 예배 가운데로 인도하는 거예요. 여호와의 보좌 앞으로 인도하는 거예요. 자신에게 인도하지 않아요.
여러분, 탁월한 영적 지도자들은 사람들을 자신에게 인도하는 게 아니라 은혜의 보좌 앞으로 이끌어 가는 거잖아요. 여러분 찬양 어제도 30분 찬양하는데요. 잘 못합니다. 그렇게 제가 어제도 느끼는 게 뭐냐면 김의신 박사가 한국 사람들을 이기려고 한다는데 저는 이길 생각이 없어요. 목사님을 왜냐하면 찬양하는 거 보고 난 그냥 손 들었습니다. 안 된다 안 된다. 원래 이길 생각도 없지만 어제 끝나고 밥 먹는데요. 저는 먹다 말았습니다. 끝까지 드시는 거예요. 어떻게 이겨요? 이게 뒷심이거든요. 뒷심 여러분 어 목사님 이기려고 하지 마세요.
여러분 어려울 겁니다. 아마 찬양을 30분씩 끌어나가고 기도를 이렇게 끌어가는 목사님 본 적이 없습니다. 그리고 온 회중들을 하나님께로 인도하고 예배 가운데로 은혜 보좌로 끌어들이는 이런 대단한 역사입니다.
두 번째, 하나님께 합심해서 기도하는 것입니다.
-연합의 힘은 대단한 겁니다. 그래서 적들은 연합을 잘합니다. 이거 하셔야 됩니다. 적들은 대단히 연합을 잘하고 탁월한 조직력과 탁월한 전략을 가지고 있는데 크리스천들은 전략이 없어요. 크리스찬들은 연합이 안 돼 있어요. 지금 한국 교회도 보면 한국 교회는 연합이 안 돼 있습니다. 연합해야 됩니다. 왜냐하면 지금 적들이 연합해서 들어왔잖아요.
1절을 다시 보세요.
*역대하 20:1,
1 그 후에 모압 자손과 암몬 자손들이 마온 사람들과 함께 와서 여호사밧을 치고자 한지라.
-이렇게 연합해 온 거잖아요. 무엇인지 연합하면 강해지는 거거든요. 적들을 보면 굉장히 연합을 잘합니다. 그리고 전략이 아주 탁월합니다. 근데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생각보다 전략이 약해요. 연합되지 않죠. 근데 여호사밧은 연합하도록 사람들을 초청합니다. 4절에 보세요. 한번 같이 읽어볼까요? 시작
4 유다 사람이 여호와께 도우심을 구하려 하여 유다 모든 성읍에서 모여와서 여호와께 간구하더라.
-모든 성읍에서 모여 왔습니다. 13절은 더 놀랍습니다. 같이 읽겠습니다. 시작,
13 유다 모든 사람들이 그들의 아내와 자녀와 어린이와 더불어 여호와 앞에 섰더라.
-저는 오늘 여기 나와 있는 우리 청년들과 학생들이 한국과 미국과 열방을 일으킬 사람들이라고 믿어요. 아무나 이렇게 올라갈 수 없는 거잖아요. 하나님이 특별한 은혜를 주신 거죠. 그러니까 어린아이까지 함께 모인 거죠. 이거 대단한 일이죠. 수문앞 광장에 부흥이 일어날 때도 다 어린 아이까지 왔거든요.대단한 하나님 역사죠. 합신 기도 이게 하나님이 가장 좋아하는 기도입니다.
오늘도 우리가 합심해서 기도하는데 정말 하나님이 정말 기뻐하시겠다. 아니 이런 교회를 축복하지 않으면 어떤 교회를 축복하겠어요? 이렇게 합심해서 모여서 새벽 2시에 일어나가지고 뭐 하시는 겁니까? 지금 저도 오늘 새벽 3시에 일어났습니다. 3시에 일어난 정도가 아니라 한 몇 번 깼어요. 왜냐하면 또 못 낄까 봐.근데 어떻게 기도했는가 합심해서 기도하는데 기도하는 걸 배워야 돼.
첫째는 하나님의 권세와 능력을 찬양하며 기도합니다.
이게 참 대단해 6절을 보세요. 6절을 여러분 같이 읽겠습니다.
6 이르되 우리 조상들의 하나님 여호와여 주는 하늘에서 하나님이 아니시니이까 이방 사람들의 모든. 나라를 다스리지 아니하시나이까 주의 손에 권세와 능력이 있사오니 능히 주와 맞설 사람이 없나이다.
-그렇죠. 하나님을 누가 말 쓰겠어요? 누가 하나님을 이기겠어요?
둘째로 하나님의 약속을 붙잡고 기도하십시오.
-7절과 9절에 보시면 같이 읽어보겠습니다.
7 우리 하나님이시여 전에 이 땅 주민을 주의 백성 이스라엘 앞에서 쫓아내시고 그 땅을 주께서 사랑하시는 아브라함의 자손에게 영원히 주지 아니하셨나이까.
.8 그들이 이 땅에 살면서 주의 이름을 위하여 한 성소를 주를 위해 건축하고 이르기를.
9 만일 재앙이나 난리나 견책이나 전염병이나 기근이 우리에게 임하면 주의 이름이 이 성전에 있으니. 우리가 이 성전 앞과 주 앞에 서서 이 환난 가운데에서 주께 부르짖은즉 들으시고 구원하시리라 하였나이다.
-같은 기도도 모여서 하는 기도와 성전 기도, 지금은 이게 예수님이 몸이 성전이잖아요. 교회죠. 예수님이 예수님이 이 땅에 오셔서 딱 두 가지를 하셨는데 하나는 십자가에 죽으시고요. 하나는 예수님의 몸을 세우신 것입니다. 그런데 성경에 보게 되면 예수님의 몸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성경에 아주 사랑을 받아요.
옥합을 깨뜨린 예수님의 머리와 몸에 부었거든요. 옥합을요. 그게 뭐냐 하면 장차 세워진 교회예요.
예수님은 교회의 몸이니 예수님 교회 머리니, 아리마대 요셉과 니고데모는 부자였습니다. 그들은 숨은 제자입니다. 가끔 그래요. 예수님은 가난한 사람만 돌아보지 않았냐 맞아요. 근데 가끔 숨은 제자를 몰래 숨겨놨어요. 실망할 때가 있으니까 꼬불쳐 놓은 거예요. 그래서 아주 중요할 때 쓰시는 겁니다. 니고데모가 가진 향품이 이게 굉장한 액수예요. 그 당시에요. 그들은 예수님의 몸, 예수님의 시신을 사랑했어요. 그럼 몸이 뭐죠? 그리스도의 교회입니다. 첫 번째 아담의 옆구리에서 하와가 난 것처럼 십자가에서 예수님이 십자가 돌아가실 때 그 옆구리에서 피와 물이 쏟아졌는데 그게 곧 신부입니다.
예수님께서 피값으로 사신 교회를 돌보라고 사도행전 10장에 나오잖아요. 예수님께서 교회를 위해서 자기 목숨을 내어주신 거예요. 첫 번째 아담은 허가를 마지막 아담 예수님은 교회를 신부를 만드신 겁니다. 교회를 사랑해야 됩니다. 교회를 비평하면 안 됩니다. 왜 그리스도의 몸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하나님의 축복을 받은 거죠.
지금 교회는 건물이 아닙니다. 물론 근데 건물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분들에게 묻고 싶어요. 그럼 당신들은 집에서 안 삽니까? 집에서 안 살아요? 제자로 키울 수 있는 그런 공간이 필요하죠. 공간 성경은 이 공간의 심리학을 아주 강조합니다. 하나님의 역사를 보시면 장소를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하는 거예요. 그중에 하나가 성전이고 신약에 오게 되면 사도행전 2장에 보게 되면 그들이 성전에 모였고 그다음에 집이 모였습니다.
그러니까 성전에 모이고 나도 집에 모인 거죠. 가정교회 그리고 함께 모인 공동체가 성령 충만한 교회고 그리고 사도의 가르침을 받았거든요. 지금 여기 보게 되면 성전에서 그들이 함께 모여서 하나님의 약속을 붙잡고 지금 기도하는 거죠.
여러분, 하나님의 약속은 어김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약속은 두 가지 때문인데 하나는 성품과 하나님의 능력과 자원이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약속하고 못 지킬 때가 많아요. 왜냐하면 인격이 안 떨어지면 또 하나는 자원이 안 떨어지면 하나님은 반드시 약속한 걸 지키는 신실한 분이고, 또한 자원이 풍부해요. 그래서 하나님의 기도의 약속은 뭐냐 하면 저는 이런 생각이 너희가 내 이름으로 무엇을 구하느냐를 시행하리라. 이것은 예수님의 성품과 예수님의 능력을 걸고 약속하신 구하라 그다음에 너희에게 주실 것이오. 너희가 얻지 못하면 구하지 아니하며
하나님이 응답하는 방법은 때로 예스(YES), 노(NO) 그리고 기다려라. 노도 응답입니다. 빌리그레함 목사 사모님이 그런 말을 하십니다. 내가 원하는 남자와 결혼했으면 자기는 다섯 번 이혼했을 거래요. 그가 원했던 것이 아니라 사모님이 필요한 사람을 만나게 한 거죠. 우리가 기도하게 되면 우리가 원하는 것보다 필요한 걸 주시는 거예요. 그리고 우리가 필요한 것을 원하게 만들어 주시는 거거든요. 그러니까 기도는 불패해요. 그런 의미에서요. 응답되지 않은 것도 응답된 거예요.
왜냐하면 우리가 응답하지 않은 것들은 하나님께서 우리가 원하지 않은 것을 주심으로 그 원하지 않은 것 속에 더 놀라운 선물을 담아주시는 거죠. 쳐다봐라. 못 생겼어요. 매브리 코에다가 키는 작고 안짱다리에다가 눈에는 안질이 있었고 몸은 약했습니다. 그가 원하지 않았던 육체의 가시인데 하나님 거기에 선물을 담아주셨어요. 내가 약할 때 강합니다. 세 번 기도했는데 예수님이 됐다. 내 은혜가 내게 속하다 응답받은 겁니다. 왜냐하면 하나님 우리가 어떨 때는 원하지 않는 것 속에 가장 좋은 걸 담아두세요. 이게 하나님의 역설이에요. 바울이 얼마나 기도를 많이 합니까? 바울이 계속 기도하잖아요. 항상 기도하라고 그러잖아요. 그는 기도 불패를 경험한 사람이에요. 그러나 우리가 하나님이 기도를 응답하시는 방법이 이 세 가지라는 걸 읽지 않으면 안 되죠. 항상 우리의 기도에 응답하시는 거거든요. 첫 번째 과거에 베푸신 하나님의 은혜를 기억하며 기도하십시오.
10절에 12절 같이 읽겠습니다.
10 옛적에 이스라엘이 애굽 땅에서 나올 때에 암몬 자손과 모압 자손과 세일 산 사람들을 침노하기를 주께서 용납하지 아니하시므로 이에 돌이켜 그들을 떠나고 멸하지 아니하였거늘.
11 이제 그들이 우리에게 갚는 것을 보옵소서 그들이 와서 주께서 우리에게 주신 주의 기업에서 우리를 쫓아내고자 하나이다.
12 우리 하나님이여 그들을 징벌하지 아니하시나이까 우리를 치러 오는 이 큰 무리를 우리가 대적할 능력이 없고 어떻게 할 줄도 알지 못하옵고 오직 주만 바라보나이다 하고.
-하나님께 탄식하며 기도하는데, 하나님 과거에 하나님이 우리를 구원하지 않았습니까? 이게 기억의 축복인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하나님께서 베푸신 은혜를 생각해야 됩니다.
저도 어려움을 꽤 겪은 사람입니다. 그렇게 보이잖아요. 산전수전, 공중전 다 겪은 사람입니다. 커피 한 잔에 들어갔다. 난 파리처럼 단말 쓴 맛, 도움 맛 다 본 사람입니다. 근데요 그 어려움을 당할 때마다 과거에 베푸신 은혜를 생각했습니다.그리고 다시 일어났습니다. 여러분 넘어지는 게 중요한 게 아닙니다. 다시 일어나지 않는 게 문제입니다. 저는 한때 교회에 어려움을 겪고 그리고 제가 섬기던 교회를 떠났습니다.
저는 실패한 것입니다. 그러나 실패했다고 실패자가 된 건 아닙니다. 우리 박신일 목사님 설교한 것처럼, 하나님이 쉼표를 찍은 곳에 마침표를 찍으면 안 됩니다.
제가 선교 교회에서 제가 실패했다고 실패자가 된 건 아닙니다. 쉼표를 찍어야죠. 다시 시작했습니다. 다시 시작한 교회가 새생명 비전 교회입니다. 저는 한 번도 실패하지 않은 사람 존경하지 않습니다. 왜 한 번도 실패하는 사람들은 실패하는 사람들을 경멸합니다. 섹스피어의 말처럼 상처를 한 번도 경험하지 않은 사람은 상처 입은 사람들을 경멸합니다.
그러나 실패를 경험하고 고난을 통과하고 고난을 극복한 사람들은 생각이 다릅니다. 저는 오 목사님 존경합니다. 잘생긴 것 때문에 존경한 건 아니에요. 왜냐하면 잘생긴 사람들은 많아요. 보니까 너무 너무 좋아하지 마세요. 목사님 그 정도 그건 아니고, 제가 목사님을 존경하는 것은 모든 어려움과 극한 어려움을 겪고 일어선 겁니다.
여러분 이렇게 큰 교회 세우는 건 쉬울 것 같아요. 여러분 정말 대단한 겁니다. 대가리가 단단하지 않으면요 도저히 들 겁니다. 놀라운 겁니다라는 거. 가장 위험한 사람은 실패를 경험하지 않은 사람입니다. 상처를 받지 않은 사람은 가장 위험한 사람입니다. 상처를 받지 않은 사람은 한 번도 사랑해 본 경험이 없습니다. 정말 사랑해 본 경험 사람은 상처와 배신과 버림을 당하게 돼 있습니다.
제자는 왜 키우는가 배신 내가 너 키우는 겁니다. 아들을 왜 키우는가 배신 내가 너 키우는 겁니다. 미안합니다. 그건 제가 좀 취소하겠습니다. 여러분 다윗에서 보십시오. 압살놈이,,, 네 반역하잖아요. 여러분 인생에 너무 지나친 기대를 걸지 마세요. 이 사람이 내 아들이 그놈이 그놈이에요. 앞살놈이에요.
그러니까 우리 생애 가운데 이걸 알아야 됩니다. 이걸 알면 인생이 좀 편해져요.
그럴 수 있다. 따라서 해보세요. 그럴 수 있다. 그놈이 그놈이다. 너무 간단한 거잖아요. 너무 사람에 대한 기대가 클수록 분노가 커지는 거거든요. 이번에 이제 세 번째 나왔는데요. 하나님께서 불러주는 거예요. 제 아내하고 상의를 했습니다. 이번에 우리가 미리 잘리자. 내년에 또 불러주지 않을 것 같으니까 미리 잘리자. 저는 간단합니다. 빼앗길 바에 줘버리고 잘릴 바에는 미리 잘려버리자. 그래야지 좀 좋을 거 아닙니까? 이런 데 또 불러주면 진짜 기분 좋거든요.
여러분, 제가 나이가 좀 들었습니다. 제가 웃는 말처럼 하는 것 같지만 이게요. 농축된 지혜입니다. 먼저 기도할 때 하나님이 우리를 대신해서 일하십니다. 17절을 보세요. 같이 읽겠습니다. 시작
*역대하 20:17,
17 이 전쟁에는 너희가 싸울 것이 없나니 대열을 이루고 서서 너희와 함께 한 여호와가 구원하는 것을 보라 유다와 예루살렘아 너희는 두려워하지 말며 놀라지 말고 내일 그들을 맞서 나가라 여호와가 너희와 함께 하리라 하셨느니라 하매.
-하나님이 대신 싸워주신 거예요. 우리가 기도할 때 하나님이 대신 일해주시는 겁니다. 우리가 일하면 우리가 일해야 되지만 우리가 기도할 때 하나님이 일을 시작합니다. 여러분 고난의 시작은 새로운 간증의 시작입니다. 문제의 시작은 기적의 시작입니다. 이걸 잘 보셔야 됩니다. 이게 하나님의 역설이죠. 너무너무 놀라운 거예요. 우리가 어려운 일을 만났다 큰일 났다고 생각하지 말고요. 야 큰 복이 시작되는구나라고 말할 수 있어야 돼. 이게 기도의 선포고 믿음의 선포잖아요. 성경은 그걸 증거하고 있으니까 기도는 뭘까요? 짐을 내려놓는 겁니다. 시편 55편 22절에 보게 되면 같이 읽겠습니다.
*시편 55:22,
22 네 짐을 여호와께 맡기라 그가 너를 붙드시고 의인의 요동함을 영원히 허락하지 아니하시리로다.
-날마다 짐을 맡기는 거죠. 내려놓으세요. 다 내려놓으세요. 여러분, 자녀들 여러분 자녀를 고치려고 키우는 게 아닙니다. 하나님께 맡기려고 키우는 거예요. 내려놓으세요. 또 이제 오늘 내려놓으시고 또 집에 갈 때 또 또 그거 가져가시더라고 그 점을요.
여러분 자녀를 변화시키겠다는 생각은요. 아예 하지도 마세요. 특별히 여러분이 남편을 변화시키겠다. 그건 정말 생각을 해서는 안 됩니다. 왜냐하면 남편은 철이 들면 죽어요. 그러니까 그냥 그냥 데리고 사셔야 됩니다. 이거 여러분 이 비밀을 정말 아셔야 되는데, 이거 정말 결혼은 남편과 아내를 변화시키려고 하는 게 아니고 사랑한다고 하는 겁니다. 사랑하면 변화가 됩니다. 이 비밀을 알아야 된다고요. 그래서 하나님께서 우리가 기도하면 하나님 대신 일해 주시고 대신 변화시키시거든요.
마지막으로 하나님 말씀에 순종하는 것이 지혜입니다.
-16절을 보세요.
*역대하 20:16,
16 내일 너희는 그들에게로 내려가라 그들이 시스 고개로 올라올 때에 너희가 골짜기 어귀 여루엘 들 앞에서 그들을 만나려니와
-20절을 보세요. 같이 읽겠습니다. 시작.
20 이에 백성들이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서 드고아 들로 나가니라 나갈 때에 여호사밧이 서서 이르되 유다와 예루살렘 주민들아 내 말을 들을지어다 너희는 너희 하나님 여호와를 신뢰하라 그리하면 견고히 서리라 그의 선지자들을 신뢰하라 그리하면 형통하리라 하고.
-하나님 말씀에 순종하고 그대로 나갔더니 하나님이 역사하는 겁니다.
하나님을 신뢰하는 것이 형통의 지혜입니다. 하나님의 선지자를 하나님의 선지자를 신뢰하는 것이 형통의 지혜입니다. 왜 그럴까요? 하나님께서 선지자를 통해서 또 목회자를 통해서 또 말씀을 전해주시잖아요. 여러분 순종은 기적을 낳습니다. 모든 기적 속에는 순종이 따릅니다.
가나 잔치 기적, 포도가 떨어졌죠. 그런데 어머니가 부탁하는 게 뭐죠? 종들에게 말씀하신 대로 그렇게 하라는 것입니다. 순종할 때 풍성한 복이 따라옵니다. 사라밧 과부가 놀라운 기적을 경험하잖아요. 열왕기 17장 15-16절을 보게 되면,
*열왕기상 17:15-16,
15 그가 가서 엘리야의 말대로 하였더니 그와 엘리야와 그의 식구가 여러 날 먹었으나.
16 여호와께서 엘리야를 통하여 하신 말씀 같이 통의 가루가 떨어지지 아니하고 병의 기름이 없어지지 아니하니라.
-여기 보면요. 여호와께서 엘리야를 통하여 하신 말씀같이 결론입니다. 이 찬양과 경배가 기적을 일으킵니다. 역대하 20장 18절, 19절을 보세요.
18절 19절에 보시면 같이 읽겠습니다.
*역대하 20장 18-19,
18 여호사밧이 몸을 굽혀 얼굴을 땅에 대니 온 유다와 예루살렘 주민들도 여호와 앞에 엎드려 여호와께 경배하고.
19 그핫 자손과 고라 자손에게 속한 레위 사람들은 서서 심히 큰 소리로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를 찬송하니라.
-그때 어떤 거 하죠? 21절을 보세요.
21 백성과 더불어 의논하고 노래하는 자들을 택하여 거룩한 예복을 입히고 군대 앞에서 행진하며 여호와를 찬송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 감사하세 그의 인자하심이 영원하도다 하게 하였더니
-22절 24절의 역사가 나타난 겁니다.
22 그 노래와 찬송이 시작될 때에 여호와께서 복병을 두어 유다를 치러 온 암몬 자손과 모압과 세일 산 주민들을 치게 하시므로 그들이 패하였으니.
23 곧 암몬과 모압 자손이 일어나 세일 산 주민들을 쳐서 진멸하고 세일 주민들을 멸한 후에는 그들이 서로 쳐죽였더라.
24 유다 사람이 들 망대에 이르러 그 무리를 본즉 땅에 엎드러진 시체들뿐이요 한 사람도 피한 자가 없는지라.
-찬송과 경배가 이렇게 능력이 있는 것입니다. 마무리해야 되겠습니다. 여러분 찬양하면 기적이 일어납니다. 찬양은 죽음의 골짜기에서 울려퍼지는 희망의 노래입니다. 찬양은 절망의 언덕에서 희망의 집을 짓는 것입니다. 찬양은 하나님 하늘과 땅이 만나는 것입니다. 찬양은 절망의 해독제입니다. 그리고 절망을 저항하는 것입니다. 찬양만큼 하나님이 기뻐하는 게 없습니다.
찬양 중에 하나님이 임하시기 때문에 찬양 중에 귀신이 떠나가고, 문제는 해결되고 기적이 나타납니다. 오늘 여러분 앞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모르지만 기도는 답입니다. 찬양이 답입니다. 경배가 답입니다. 여러분, 기도하고 찬양 가운데 승리하시기를 주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기도==하나님 아버지, 여호수아 없이 큰 문제를 만났지만 기도하고 찬양하고 경배하다가 큰 복을 받았습니다. 우리 성도들 기도하다가 큰 문제가 큰 복덩어리가 되게 하시고 큰 문제가 큰 기적이 되게 하시고 큰 형통을 경험하도록 축복해 주옵소서. 예수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 ![]() |
반응형